Page 37 - 완) I MDP 프로젝트 작품 보고서(전체과 1학년)1.6
P. 37
5. 학생별 소감
- 전자제어과 1학년 2반 13번 성창훈
우리가 만든 전자 분야 작품을 다른 사람들에게 전시하고 알리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 떨리고 긴장됐다.
그동안 연습해왔던 패턴도 그리기, 납땜(부품, 배선) 등을 마음껏 발휘 할 수 있었다. 패턴도를 그렸다 지
웠다 하면서 내가 배운 것을 되돌아보았다. 학기 초에 납땜이 어려워서 고민했던 내가 떠오르기도 했다.
이번 회로는 크게 발진회로(NE555), 분주회로(7490IC), 다링턴(다단 증폭 회로/ULN2003A)를 사용한 회로
였다. 발진회로는 많이 접해봤지만 분주회로나 다링턴은 이번 기회에 처음 동작시켜 보는 것이었다. 우선
패턴도는 그릴 때 반대로 그려야 납땜할 때 편하다. 점프선을 쓰기 싫어서 열심히 노력했지만 선이 복잡하
여 5개 정도 쓸 수밖에 없었다. 부품 납땜과 배선을 끝낸 후 띠LED를 만들고 연결했다. cds를 가리면 여
러 가지 색의 불이 깜빡거리며 들어와야 했지만 내 것은 초록색 불만 들어왔다 . 이 때부터 진땀 흘리면서
틀린 곳을 찾기도 했다. LED를 바꿔보기도 했고 IC를 바꿔보기도 했다. 그런데도 안 들어와서 배선에 문
제가 있음을 판단했다. 문제는 다이오드의 플러스, 마이너스 단자를 바꿔 끼운 것이었다. 부품을 다시 갖
고 와서 납땜했더니 IC로 들어가는 전압이 높아지고 LED가 작동했다. 그 때의 감정은 학교에 전공 시간에
느낀 감정 중에 최고로 즐거웠고, 내가 이미 전자분야 명장이 된 것만 같았다. 회로 구성을 어렵지 않게
하는 나의 실력을 보면 1년 동안 많은 것을 배웠구나 하기도 했다. 그 다음은 작품의 외형을 만드는 일을
했다. 조원과 함께 고민한 끝에 어두워지면 헤드라이트가 들어오는 자동차를 만들기로 했다. 주재료로는
하드보드지를 사용했고 종이테이프로 붙여서 완성했다. 외형을 만들고 동작을 시켰을 때 또 한번 LED불이
안 들어와서 뭐가 잘못된 건지 찾아봤더니 다행히도 스위치의 연결이 잘못이었다. 작품을 만들 때 가장
힘들었던 점을 꼽자면 동작이 안 될 때 마다 패턴도를 보며 틀린 점을 하나하나 찾아봐야 한다는 점이다.
그래도 잘못된 점을 찾아서 고치고 난 후의 순간은 매우 기쁘다. 또 이번 MDP시간에 확연히 느꼈던 것은
조원과의 협동력이다. 누구 하나가 빠지면 힘들어지고 조원 서로의 협력이 작품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
는 것을 느꼈다. 그리고 우리 반 전체의 동작을 위해 많은 시간을 할애해주신 선생님께도 감사드린다.
-전자제어과 1학년 2반 18번 전현겸
‘명장 양성 프로젝트(MDP)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잘 수행해나갈 수 있는가?’
이건 인천전자마이스터고 입시 면접 때 받았던 선택 질문중 하나이다. 그 당시에는 MDP가 무엇인지 무엇
을 하는 것인지 전혀 할지 못했다. 기본지식이 없었던 지라 그져 막막하기만 했다. 하지만 학교에 입학을
하고 방과후 MDP시간에 옴의 법칙, 전압 분배법칙, OP-AMP 등 여러 가지를 배우다보니 어느새 11월 달
이 되어서 1학년 동안 배운것들을 토대로 회로를 제작하고 전시하고 설명해야 할 시기, 즉 프로젝트를 할
시기가 왔다. 프로젝트는 약 1달간의 준비기간을 통해 주제를 가지고 회로를 만들어 전시를 하는 일종의
결과물 발표이다. 프로젝트를 할 때 선생님이 회로를 주시고 동작설명까지 해주신다고 하셨지만 MDP시간
에 1년동안 배운 것들에 대한 지식에 대해 확신이 없고 불안했기 때문에 프로젝트에 대해 거부적인 느낌
일 가지고 있었다. 그랬기 때문에 자신이 없었다.
우리의 이번 프로젝트는 띠 LED가 반짝이며 색이 바뀌는 동작 회로였다. 회로는 OP-AMP를 이용한 비
교기, NE555를 이용한 발진회로, 일정한 신호를 줘야 출력하는 IC7490, 전류와 전압 증폭을 해주는
IC2003A로 이루어져있다. 이 회로를 이용해서 밤이 되면 불이 자동적으로 켜지며 작동하는 회로였다.
처음에 선생님이 주신 회로를 보고 패턴도를 그리기 시작했다. 평소에 해왔던 회로는 IC가 1개 혹은 많
아야 2개였는데 이번 회로는 무려 IC가 4개나 되는 회로였다. 패턴도를 그릴 때 점프선을 하나라도 적게
쓸려고 3~4번 고쳐서 5시간은 그렸던 것 같다.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