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00 - 완) I MDP 프로젝트 작품 보고서(전체과 1학년)1.6
P. 400

라이브러리로서  우리  프로젝트에서는  외부버튼만으로  웹  게임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되었다.
            2)설치법
            $  wget  http://sourceforge.net/projects/webiopi/files/WebIOPi-0.7.1.tar.gz

            $  tar  xvzf  WebIOPi-0.7.1.tar.gz
            $  cd  WebIOPi-0.7.1
            $  wget  https://raw.githubusercontent.com/doublebind/raspi/master/webiopi-pi2bplus.patch
            $  patch  -p1  -i  webiopi-pi2bplus.patch
            $  sudo  ./setup.sh

            //  라즈베리파이2  model  b+  및  3는  패치를  해줘야  정상작동함


            $sudo  service  /etc/init.d/webiopi  start      //webipi  시작(bg)

            $sudo  update-rc.d  webiopi  defaults //부팅  시  자동으로  실행
            $sudo  webiopi  -d  -c  /etc/webiopi/config     //디버깅모드로  시작(설정을  바꿨는데  바뀌기
            전의  설정으로  시작될  경우에  사용함)
            ps.  already  use  ~~~  address  오류가  뜰  경우에는  webiopi서비스를  멈춘후에  실행시켜야함

            설정상  사용하는  포트가  같아서  충돌이  일어남





            3)  사용법
            파이내에서  접속  할  경우에는  localhost:8000  또는  127.0.0.1:8000  으로  들어가시면  됩니다.
            ID와PW는  webiopi,  raspbeery로  설정되어있습니다.
            외부(같은  wi-fi를  사용하는  노트북)에서  접근할  경우에는  pi의  ip의  8000번포트로  접근하시면

            됩니다.(ex.  192.168.1.49:8000)
            자세한  사용법,  메소드들과  설정은  http://webiopi.trouch.com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는  제가  사용한  메소드들과  그에  관한  설명입니다.



            webiopi()


            -  WebIOPi객체를  반환(뒤에  사용한  WebIOPi.method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webiopi()를
            변수에  담거나  메소드  사용시마다  webiopi().method형식으로  사용하셔야  합니다.)



            WebIOPi.ready(callback)
            -  WebIOPi로드가  끝날시  트리거되는  이벤트

            아래의  gpio,  func속성에는  gpio는  정수,  func는  "IN",  "OUT",  "PWM"  값을  주시면  됩니다.






                                                         -  393  -
   395   396   397   398   399   400   401   402   403   404   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