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3 - 완) I MDP 프로젝트 작품 보고서(전체과 1학년)1.6
P. 73

super.onCreate(savedInstanceState);
                                setContentView(R.layout.main);

                                TextView tv = new TextView(this);


                        // TextView 객체  생성
                                tv.setText("Hello world");



                        // 글자  세팅
                                setContentView(tv);
                        // 화면에  표시

                            }
                        }


                안드로이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Views라는  객체의  계층구조로  구성되어져  있다.  View는
            button,  image,  text  label등  UI  layout에서  그리기  가능한  객체  이다.  이  객체들은  View클래스
            의  SubClass이며,  text를  처리하는  하위  클래스는  TextView이다.  방금  전의  소스  수정으로  인
            하여  매개변수로  안드로이드  문맥  인스턴스를  받아들이는  클래스  생성자와  TextView를  만들어

            봤다.  문맥(Context)은  시스템에  대한  핸들이다.  그것은  리소스를  해결하거나,  데이터베이스나
            환경의  권한을  포함하는  것  등등  서비스를  제공한다.  Activity  클래스는  Context로  부터  상속
            받았다.  왜냐하면  HelloAndroid는  Activity로  부터  상속  받았기  때문이다.  그것  또한  Context이

            고,  그래서  TextView에  Context참조로  전달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Activity  UI에  내용을  표시하기  위해  TextView를  setContentView()를  통하여  전
            달한다.  만약  Activity가  이  Method를  호출하지  않는다면  어떤  UI도  없는  것이며,  시스템은  검

            은  화면을  제공  할  것이다.  이제  이렇게  만든  App을  실행해보고자  한다.


                Eclipse  플러그인은  App  실행을  쉽게  만들어  주는데,



                 1.  Run  >  Run  을  선택  한다.
                 2.  "Android  Application"을  선택  한다.



                Eclipse  플러그인은  자동으로  Run  설정을  만들어  주고,  안드로이드  에뮬레이터로  실행이  될
            수  있도록  생성해  준다.  사용자  환경에  따라  에뮬레이터가  구동이  되는데  몇  분이  걸릴  수  있
            다.









                                                         -  66  -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