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74 - 완) I MDP 프로젝트 작품 보고서(전체과 1학년)1.6
P. 574

파이는  802.11  기반의  많은  소프트웨어  기술을  포함하며,  802.11에서  지원되나  와이파이에서

            쓰이지  않는  기술도  있으므로  둘을  혼동하지  않는  것이  좋다.  와이파이  통신은  기본적으로  인
            터넷에  데이터를  전달해  주는  기능을  하는  AP(액세스  포인트)와  노트북이나  스마트폰과  같이
            사용자가  서비스를  받는  단말간의  통신이다.  와이파이를  이용하려면  단말에  연결하기  위한  하
            드웨어  (무선  랜카드)가  있어야  하며,  운영  체제에서  해당  무선랜카드를  인식할  수  있는  장치
            드라이버가  설치되어야  한다.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등  이동이  많이  이루어지는  단말에는  기본

            적으로  탑재되어  있어  사용자는  별다른  설정  없이  와이파이를  사용할  수  있으며,  데스크톱  사
            용자도  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근래에  들어  선  없이  인터넷이나  상호간  통신이  가능한
            장점  때문에  게임기,  프린터,  TV  등  다양한  주변  기기들에서도  와이파이를  지원하고  지원하는
            단말들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제약  사항은  IEEE  802.11에  기술되어  있으며,  와이파
            이에서는  802.11  기반의  연결을  활용하는  구체적인  방식을  다룬다.

              와이파이는  현대의  노트북  컴퓨터나  포켓  컴퓨터나  넷북에는  무선  랜을  대부분  장착하고  있
            으므로  무선접속장치(AP)  범위  이내에서는  와이브로를  이용하지  않고도  무선으로  초고속  인
            터넷을  이용할  수  있다.  스마트폰의  보급  이후  와이파이  수신을  통해  이동통신사의  추가  데이
            터  과금  없이  무선  인터넷을  즐길  수  있다.
            -  와이파이의  단점

            와이파이는  3G망에  비해              무선  인터넷  속도가            빠르지만  무선  인터넷을             가능하게  해주는
            AP(Access  Point)  근처에서만  무선  인터넷이  가능하다.  또한  하나의  AP가  가능하게  해주는
            무선  인터넷  범위는  크게  넓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와이파이를  이용하여  이동하면서  무선  인
            터넷을  즐기려면  곳곳에  AP가  많이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그렇다고  AP를  무분별하게  설치하
            면  근처의  AP  전파가  간섭현상을  일으켜  무선  인터넷  속도가  느려진다.  와이파이는  3G  망과

            같은  이동성(Mobility)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끊김  없는  통신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한  AP
            에서  다른  AP로의  전환  시에는  이전  AP로부터  접속  종료  후  새로운  AP로  접속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AP  전환  시  TCP와  같은  접속  지향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통신은  단절되며,  통신을
            계속하기  위해서는  새로  접속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  기존  통신방법에서의  개선

            우리는  기존의  통신  방식이  제한적이고,  사용하기  힘들다는  것을  발견하여,  기존에  사용되지
            않았던  와이파이를  이용한  원격제어를  사용하였다.




            4)  라즈베리파이와  무선랜카드를  이용한  AP만들기

            -  라즈베리파이에  장착된  무선  랜카드와  hostapd툴을  이용하여  AP를  만들어보자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hostapd  isc-dhcp-server


            isc-dhcp-server가  깔리면,




                                                         -  567  -
   569   570   571   572   573   574   575   576   577   578   5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