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98 - 완) I MDP 프로젝트 작품 보고서(전체과 1학년)1.6
P. 798

12. 문제점 및 해결방안

             가. 터치스크린, NFC 구현 문제
                 - 터치스크린  대신 스위치로 변경,  NFC  삭제
             나. CLCD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음
                 - CLCD를 포함한 모든 회로의 Ground를 묶어줌
             다. 적외선 센서 인식 불량
                 - 다른 종류의 부품으로 교체
             라. 장애물 감지 센서 활용방법 이해 불가
                 - 연산증폭기를 이용하여 ADC 회로를 설계하고 장애물 감지 센서의 아날로그 값을 처리장치가
                 받아들일 수 있는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여 활용
             마. 마그네틱 센서 인식거리 문제
                 - 마그네틱 센서가 아닌 장애물 감지 센서로 변경
             바. Uart Wi-Fi Module 에러
                 - Pin을 거꾸로 연결했었음, 정상연결 후 동작 확인
             사. FPGA와 Raspberry Pi 간 Wi-Fi 통신 끊김 현상
                 - Uart Wi-Fi Module의 설정을 Client 모드에서 AP모드로 변경하여 해결
             아. 모터가 잘 작동하지 않음
                 - 토크 문제임을 확인하여 Duty Rate를 50%에서 80%로 소프트웨어 수정
             자. 회전 구간에서 이탈 현상
                 - 회전 구간에서 느려지는 바퀴의 Duty Rate를 60%에서 40%로 소프트웨어 수정
             차. 장애물 감지 센서의 출력값 불안정
                 - 가변 저항을 조절하여 측정거리를 조금 좁게 만듦
             카. 모터와 CLCD의 전압을 공급하는 건전지의 방전 속도가 너무 빠름
                 - 건전지 대신 보조배터리를 사용하여 해결
             타. CLCD의 문자 출력이 불안정함
                 - FPGA의 핀과 회로기판의 핀을 연결하는 배선의 불량을 확인 후 수정
             파. 버스 외형이 불안정함
                 - 서포터를 하나 더 세워 고정시킴
             하. 정해진 라인을 이탈하는 경우가 잦음
                 - 앞 쪽의 지지대를 바퀴 대신 구슬로 변경


             13. 기대 효과

             가. 승객이 버스가  지나칠까  걱정하지  않고 편하게  앉아서 기다릴 수 있다.
             나. 승객을 더 많이 태우려고 하는  경쟁심리가 없어지기 때문에  보다 안전한  버스 운행을  도모할 수
                 있다.
             다. 승객이 없는 정류장에 일부러 장차할  필요가 없는  즉, 불필요한 정차를  막음으로써 배기가스
                 유출을 막아 환경오염 문제에 이바지  할  수  있고 버스의  정차로 인해  교통이 혼잡해지는  경우를
                 조금이나마  막을 수 있다.
             라. 기존에 존재하고 있는 ‘버스 도착 알림  시스템’과 연동하여 사용할  시에 더 큰 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다.




                                                         -  791  -
   793   794   795   796   797   798   799   800   801   802   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