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18 - 완) I MDP 프로젝트 작품 보고서(전체과 1학년)1.6
P. 818
1. Active : 일반적인 연결 상태이다.
2. Hold : 일시적인 절전 모드이다. 장치는 정해진 시간동안 절전 모드에 들어갔다 다시
Active 모드로 돌아온다. 마스터 장치가 슬레이브 장치에게 이 모드로 들어가도록 지시할 수
있다.
3. Sniff : 절전 모드이다. 절전 중에도 일정 간격마다 송수신 데이터가 있는지 확인한다.
4. Park : 정지 모드이다. 더 깊은 절전 모드로 마스터 장치에서 슬레이브 장치에게 신호가 있
을 때까지 정지모드로 들어가도록 지시한다.
두 장치가 연결된 후 일정 데이터를 교환하면 결속 상태로 진입한다. 결속된 장치들은 서로
가까운 거리를 유지할 때 자동으로 연결된다.
위 상태는 페어링이라는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다. 두 장치는 페어링 될 때 서로 주소, 이름,
프로파일(기본 규격에 더해진 프로토콜)을 교환한다.
페어링은 사용자가 원하는 장치만 연결이 될 수 있도록 인증 과정을 요구한다. 인증 과정을
위해서는 별도의 UI 조작이 필요하지만 이 과정을 생략하고 인증 없이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인증 과정은 6자리 숫자를 입력받아 수행하는데 예전 기기의 경우(블루투스 v2.0 또는
이전) PIN 코드를 사용한다. PIN 코드는 4자리 숫자부터 16자 알파벳 문자까지 다양한 방법
이 사용될 수 있다.
블루투스 통신은 소형화가 가능한 근거리 통신이기 때문에 주로 핸즈프리(귀에 착용하여 손
을 사용하지 않고 휴대폰의 통화, 음악 감상 등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제품) 분야에서 활
약한다. 그리고 IOT 산업이 각광받는 현재에는 비콘으로써 응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비콘은
5cm ~ 10cm 단위의 구별이 가능할 정도로 정확성이 높고 블루투스의 저전력 특징을 계승하
여 사물 인터넷 인프라의 가장 기본적인 단위가 되었다.
- 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