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74 - 2
P. 674
10. 소감문
< 강성진>
2 번째 MDP 실습을 진행하면서 많은 경험과 깨달음을 얻었다 처음 프로젝트를 진행했을 때의 나는.
햇병아리에 불과 했다 지금은 조금은 커진 병아리가 된 느낌이다. . 1 학년 때에는 지급된 회로도를 패턴
도로 바꾸어서 간단한 물건을 만들었다면, 2 학년 때에는 여러 방면에서의 상황을 이해하고 조원들끼리
뭉쳐서 어려움을 이겨나가면서 프로젝트를 완성하는 작업을 하였는데 진행하면서 어려움이 있었다 서.
로 말이 안 맞아서 다투던 일 도 있었고 부품상의 문제로 초기에 계획했었던, MDP 프로젝트의 큰 틀을
바꾸기도 하였고 전시하는 날 당일에도 프로젝트의 부족한 점을 메꾸기 위해 우리 조원들은 프로젝트,
에 참여 하였다 전시하는 날 전날에 어려움이 닥쳐서 프로젝트의 소스 부분을 재빨리 수정하면서 우.
리 조원들은 여러 경험을 하였다 이런 경험을 토대로 다음. 3 학년 때의 모습이 지금과는 달리성장 해
있을 것 같다 우리는. Wi-Fi 를 이용하여 API 를 ATmega128 에 담아서 SPI 통신을 이용하여 LED 의 색
깔을 날씨에 따라서 자유자재로 제어하는 프로젝트 계획을 세웠지만 조금은 부족한 결과물이 탄생 되
었던 것 같아서 아쉬운 부분이 있다 그래도 약. 3 개월간 주말에도 나와서 열심히 프로젝트에 참여해준
우리 팀에게 정말 고맙고 나에게는 좋은 경험이 되고 깨달음을 준 프로젝트가 되었던 것 같아서 나도
개인적으로 뿌듯하게 생각한다.
< 김기태>
이번 MDP 는 아쉬운 부분이 많았다 일단은 구성을 짜임새 있게 만들지 못 한 것에 대한 아쉬움과.
정보검색을 잘못한 것이 있다 구성을 짜임새 있게 만들지 못해서 역할 분담이 잘 안됐던 부분이 있었.
고 시작의 방향을 못 잡아 갈팡질팡한 면도 있었다.
정보 검색이 잘 이루어 지지 않아서 모르는 분야를 끝없이 공부해야 했고 방대했던 공부의 양도 인
지 하지 못했다 하지만 이후 조원들과 토의하며 방향을 설정하고 서로의 역할에 최선을 다하자 작품.
이 모습을 드러냈다 이때의 기쁨으로 일에 박차를 가하자 작품은 완성되어 갔고 작품을 완성했다 이. .
번 경험으로 조장의 역할과 방향설정에 지식을 얻게 됐다.
< 김민혁>
처음 2 학년 MDP 를 시작했을 때에는 작년보다는 높은 수준의 작품이 나오기를 바랐고 이번에는 틈,
틈이 잘 준비하여 시간에 쫓기지 않았으면 했다 하지만 처음 계획한 작품은 만들지 못했고 다른 방향. ,
으로 돌려 반쪽짜리 완성을 하게 되었다 우리 조는 왜 반쪽짜리 완성을 하게 되었을까 생각해보니 첫.
번째는 소통 문제였다 서로 의견이 나뉘기도 하고 말을 잘못 이해할 때도 있었다. .
두 번째는 역할 분배의 문제였다 또 다른. OR CAD 과제를 받은 나와 동우가 늦게 합류하면서 역할
분배가 제대로 되지 않아서 침적으로는 큰 손실을 남기게 되었다 세 번째는 나의 문제인데 소프트웨. ,
어 코딩에 대해 안일한 태도로 있다가 뒤늦게 정신 차려서 코드를 짜니 너무 시간이 없어서 통신에 관
한 코드가 완성되지 못해 팀의 작품이 다른 길로 돌아간 것 같다.
그래서 내년에 MDP 를 다시 한다면 내가 파악한 문제점들을 보완하여 확실한 역할분담과 통신과 다,
운 소통 능력 철저한 시간 분배를 통해 프로젝트를 성공시킬 것이다, .
원래 실패를 하면 좌절감이 들지만 이번 우리 조의 실패는 성공을 위한 실패일 거라는 생각이 들고
내년엔 성공 시킬 것 같은 자신감 또한 들었다 스트레스도 많았지만 좋은 경험을 한 것 같다. .
< 김민희>
1 학년 때도 MDP 를 해봤지만 지금처럼 힘들고 어렵지 않았다 작년에는 선생님께서 주시는 주제로.
회로도를 작성하고 납땜을 하여 쉬웠다 하지만 올해. 2 학년이 되면서는 차원이 달라진 것 같다.
우선 조를 편성하여 조원들끼리 주제를 정하고 하나부터 열까지 다 스스로 해야 하는 것들뿐이라 난
이도가 너무 어려워졌다는 느낌이 들었다 작품을 동작하는 코드를 하나하나 생각해서 동작을 시켜야.
했다 우리 조는 구름 조명으로 날씨를 알아보는 전 솜이예요 를 만들었다. ' , .' .
- 6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