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12 - 3-3
P. 1112

IoT 의 주요 구성 요소인 사물은 유무선 네트워크에서의 end-device                       뿐만 아니라 인간 차량 교량,  ,   ,     ,
              각종 전자장비 문화재 자연 환경을 구성하는 물리적 사물 등이 포함되어있다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                 .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 지능통신을 할 수 있는,                      M2M  의 개념을 인터넷으로 확장하여 사물은 물
              론 현실과 가상세계의 모든 정보와 상호작용하는 개념으로 진화하였다,                             .


              4) IoT 3 대 주요기술
                4-1)  센싱 기술
                :  전통적인 온도 습도 열 가스 조도 초음파 센서 등에서부터 원격 감지/  / /  /  /             , SAR,  레이더 위치 모션 영,  ,  ,
                  상 센서 등 유형 사물과 주위 환경으로부터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물리적 센서를 포함한다 물리적.
                  인 센서는 응용 특성을 좋게 하기 위해 표준화된 인터페이스와 정보 처리 능력을 내장한 스마트
                  센서로 발전하고 있으며 또한 이미 센싱한 데이터로부터 특정 정보를 추출하는 가상 센싱 기능도,  ,
                  포함되며 가상 센싱 기술은 실제 IoT              서비스 인터페이스에 구현되어있다 기존의 독립적이고 개별.
                  적인 센서보다 한 차원 높은 다중 다분야 센서기술을 사용하기 때문에 한층 더 지능적이고 고차(  )
                  원적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4-2)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기술
                : IoT 의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장치로는 기존의 WPAN, WiFi, 3G/4G/LTE, Bluetooth,
                  Ethernet, BcN,  위성통신, Microware,     시리얼 통신, PLC       등 인간과 사물 서비스를 연결시킬 수,  ,
                  있는 모든 유 무선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


                4-3) IoT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 IoT  서비스 인터페이스는 IoT         의 주요 3    대 구성 요소 인간 사물 서비스 를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  ·  )
                  응용서비스와 연동하는 역할을 한다. IoT                서비스 인터페이스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개념이 아
                  니라 정보를 센싱 가공 추출 처리 저장 판단 상황 인식 인지 보안 프라이버시 보호 인증 인,  ,  /  /  ,  ,  ,  ,  ,  /     ,     /
                  가 디스커버리 객체 정형화 온톨러지 기반의 시맨틱 오픈 센서,  ,  ,           ,           API,  가상화 위치확인 프로세,  ,
                  스 관리 오픈 플랫폼 기술 미들웨어 기술 데이터 마이닝 기술 웹 서비스 기술 소셜네트워크,  ,  ,     ,               ,
                  등 서비스 제공을 위해 인터페이스 저장 처리 변환 등 역할을 수행한다,  (  ,  ,   )                .


              5) IoT  관련 주요국 정책 동향
                5-1)  미국
                  -  국가정보위원회는 2025        년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미국의 국가경쟁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6                            대
                    와해성 기술(disruptive civil technologies, 2008)       분야 중 ‘   사물 인터넷(The Internet         of
                    Things)’ 을 선정


                5-2) EU
                - ’09 년 7 월 EU  는 인터넷 진보를 활용하는 것과 보안 개인정보 과 같은 문제가 될 우려가 있는 사(  )
                  항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14             개의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에 관한 액션 플랜을 발표


                5-3)  중국
                  -  주로 IoT  에 관한 연구 및 사업지원을 위한 제반환경을 조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정책,                                  방
                     향을 보면 중장기 과학기술 발전계획 수립(06 ~ 20                  년), M2M   연구센터 구축(10      년),  사물네트워
                     크 산업 기금 조성(10       년 등)




                5-4)  일본


                                                        - 1112 -
   1107   1108   1109   1110   1111   1112   1113   1114   1115   1116   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