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74 - 2020학년도 MDP과제발표회 자료집 (통신과) (3)
P. 274
1. 동기
요즘 나오는 냉장고에는 인공지능과 모니터가 없는 경우가 거의 없다. TV 에도 AI 스피커를 장착
하고 나오는 경우도 많다 그런데 냉장고. , TV 만큼 많이 쓰는 옷장에는 인공지능이 달려있지 않
다 우리는 하루의 시작을 옷을 입고 마지막은 옷을 벗으면서 정리한다 그렇다고 옷을 입고 . , .
벗고 하는 시간이 짧은 것도 아니다 옷을 입고 벗는데 얻을 수 있는 정보의 양은 정말 많다. .
우리는 그 시간을 낭비하고 있지는 않을까 그렇다고 냉장고에 있는 인공지능 모니터를 사용하?
기에는 비효율적이다 또한 인공지능 스피커를 사용하기에는 시각적인 정보를 얻기에 너무 취약.
하다 그런점을 모두 모아 해결하기 위해서 스마트 옷장을 만들게 되었다. .
2. 구현목표
옷을 갈아입는 짧은 시간에도 정보를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스마트 옷장을 만들면 그 효과.
를 극대화 시킬 수 있지 않을까하는 목표를 가지고 만들었다.
3. 진행계획
가 역할분담.
조장 대부분의 하드웨어적인 요소를 담당했다 기구적인 요소와 , .
지수현 회로를 담당하고 기본 베이스를 담당했다 라즈베리파이 포맷, .( ,
기본설정 등)
소프트웨어 담당 스마트미러의 실패와 성공을 모두 겪어 봤으며 ,
이건호
음성인식을 성공했다 잔소리를 담당했다. .
소프트웨어 담당 스마트미러의 설치를 한 번에 성공한 기적의 ,
이현지
손 . 이 .
나 날짜 계획.
▶ 4 월
라즈베리파이에서 사용할 Python 에 대한 기본적인 요소를 이해하고 기초 문법을 배웠다.
▶ 5 월
Python 을 이용하여 회로를 동작시키는 방법에 대해서 배웠다.
▶ 6 월
IOT, 스마트홈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어떤 작품을 만들지 결정하고 작품에 대한 상의를 하
고 유사한 실제 제품의 구조 등을 이해했다, .
▶ 7 월
데이터 베이스를 사용하는 기본적인 요소와 활용하는 방법을 배웠다. 라즈베리파이에
Github 에 제공되어 있는 MagicMirror 포럼에서 MagicMirror 를 설치했다.
▶ 8 월
기구적인 요소들의 대략적인 요소를 구상하고 수치를 재단한 다음에 필요한 재료들을 찾
아보았다.
▶ 9 월
MagicMirror 에서 사용할 공공데이터를 얻고, 우리의 Google 계정을 연동시켰다.
MagicMirror 에 음성인식 서비스를 접목시키고 마이크를 사용할 수 있게 코딩을 하고 스, ,
피커에 목소리를 나올 수 있게 했다.
▶ 10 월
- 28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