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20 - 2020학년도 MDP과제발표회 자료집 (통신과) (3)
P. 520

5.  Notion 과  같은  업무  생산성  앱을  뒤늦게  사용한  점
              6.  PPT 를  조장이  혼자  만들어  다른  조원들이  경험이  부족해진  점
              7.  프로젝트  중간에  조장을  제외한  조원  세  명이  현장실습에  나가  조장이  모든  역할을  하게  된  점


             3     느낀점


            허성진 조장(   )  :     나는  사실  프로젝트가  두려웠다 하지만  마무리는  뿌듯함과  행복함으로  장식했다 년  동안 .              .3
                            그랬듯이  나는  친구들의  추천으로  프로젝트의  조장을  맡게  되었다 나는  선생님과  친구들 .
                            앞에서는  스트레스  안  받는  척 쿨한  척  했지만  속은  아니었던  것  같다 조원의  의견을  계,   .
                            속  수용해야하는  건지 아니면  내가  어느  정도  의견을  잘라가면서  단호하게  나서야  하는지 ,
                            잘  알지  못했다 사실  모든  것이  새롭고  스스로  배워야  하는  프로젝트  였기에 나도  대부.            ,
                            분의  분야에서는  지식이  전무했고 그렇기에  의견을  단호하게  잘라내는  행위는  안좋게  보,
                            여  위험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런  고민은  짧은  시간에  해결되었다 서로를  생각하며 .         .
                            의견을  내주고 싸우는  것  같아도  프로젝트를  위해서  의견을  어필하는  조원들의  모습을  보,
                            며 조장으로서의  부담을  날려  보낸  채  조원들과  함께  프로젝트를  할  수  있었다 프로젝트,              .
                            는  모두가  처음인  것을  다음에는  처음이  아닐  수  있도록  미리  경험시켜주는  기회라고  생
                            각한다 배울  때에는  학생처럼 작품을  제작할  때에는  현장의  전문가처럼 이  모든  경험이 .   ,      .
                            우리가  직장에  들어가  기술자가  되었을  때  큰  도움이  될  것  같다.

            문은서 조원(   )  :  1 학년,  2 학년을 지나 이제 학년 마지막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되면서 년간 다져온    실력을 보       3               3
                            여드릴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고 생각하고 처음에는 너무 열정만 앞세웠었지만 보다 노련해지                          ,
                            고 성숙해진 저희였기 때문에 문제가 생겼을 때 빠르게 대처하고 이전보다 쉽게 대안을 떠올리
                            고 실행할 수 있었습니다        .   매년마다 각기 다른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되면서 년이면 서당개도                3
                            풍월을 읊는다고 각자가 잘 하는  일을 스스로 찾아 누가 굳이 시키지 않아도 모두 알아서 척척
                            해내는 모습이 저희끼리도 대견스럽게 느껴졌습니다 이전에는 어려웠던 작업들이 프로젝트를            .
                              거듭하며 노하우가 생기고 수월하게 진행 되는 것을 느끼며 할 수 있다라는 자신감과 긍지를
                            얻게 되었습니다      .   이렇게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얻은 경험과 지식은 실무에서 더없이 좋은 발
                            디딤 판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마지막으로 이 프로젝트를 만드는데 많은 도움과 격려를
                            주신 우리 학교 선생님들과 함께 했던 조원들에게 감사드리며 느낀점 마무리 하겠습니다                              .

            윤수화 조원(   )  :  매년  프로젝트를  하면서  내가  발전되고  있다는  느낌이  든다 선생님의  말씀대로만  행동해왔.
                           던  학년  때의  나 조원들과  상의해가면서  우리가  생각하는  데로  실행했지만  서툴렀던 1  ,                       2
                           학년의  내가  생각난다 하지만  이제는  기능에  대해  생각하면서  어떻게  구현해나갈  것인지.                          ,
                           구현  가능한  기능인지  머릿속으로  정리도  하고  부족한  부분은  인터넷 선생님 친구  등  여,             ,
                           러  도움을  받으며  최대한  스스로  성공시키려  노력했다 이번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배운 .
                           점들이  많은  것  같아  뿌듯하다 서버를  담당하면서  초반에는  무엇을  해야  하는지 어디부.                   ,
                           터  시작해야  하는지  몰라서  잘  하는  친구의  소스를  받아  이해하면서  따라했지만  어느새
                           내가  다른  친구를  도와주고  있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다 전공뿐만  아니라  조원들과의 .
                           수많은  회의를  하면서  상대방의  의견을  존중하고  조율해나가는  방법  또한  배웠다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하드웨어에는  내  손이  닿은  곳을  찾기  힘들지만  서버와  안드로이드에서  많.
                           이  찾을  수  있기  때문에  아쉬운  마음은  없다 중간엔  하루  종일  코딩만  하다보니까  계속 .
                           앉아  있어  몸이  답답한  감이  없지  않아  있어서  차라리  내가  하드웨어를  하고  싶다는  생각
                           이  들기도  했다 그때  포맥스를  자르러  갔는데  하나  자르는  데도  힘이  굉장히  많이  들고 .
                           쉽지  않았다 역시  뭐든지  쉬워  보인다고  만만하게  보면  안  되는  것  같다 우리  조원을  포.      .
                           함해서  다른  조  친구들에게  전부  수고했다고  한마디  해주고  싶다 항상  프로젝트를  할  때.
                           는  원하는  대로  되지  않아  스트레스를  받기도  하고  학기가  되면  대부분의  수업  시간에 2
                           프로젝트를  하다  보니  지쳐있을  때가  많지만  그만큼  보상받는  것이  많다고  생각하기  때문
                           에  몇  년  후  지금을  되돌아볼  때면  좋은  경험으로  남아있을  것  같다.



             542     인천전자마이스터고등학교                        -  542  -
                        정보통신기기과
   515   516   517   518   519   520   521   522   523   524   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