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1 - 2016마이스터고 운영 자료
P. 71

•••  산학협력 정책연구학교 운영보고서







































                                    [그림  Ⅴ-21]  마이스터  양성을  위한  인재  양성  모형


               2)  맞춤형  진로  경로의  적용

                  가)  목적
                        신입생  초기  단계부터  자신의  커리어패스를  설정하는  데  조력하고  진로  분야에  대한  기술과  다양
                  한  경험을  습득하여  궁극적으로  해당  분야의  영마이스터로  성장하기  위한  성장경로를  제시해야
                  한다.  이를  위해  학생들에게  커리어패스(진로경로)를  안내하고  자신의  적성에  맞는  커리어패스별
                  교육과정으로  수학할  수  있도록  재학  중  교육  관리  시스템을  운영하는  데  그  목적을  둔다.


                나)  방침
                  (1)  커리어패스  구축  담당부서와  커리어패스에  따른  취업  담당부서와  연계하여  추진한다.
                  (2)  4가지  커리어패스  유형에  맞도록  학기중,  방학중  연중  또는  수시  교육이  진행되도록  한다.
                  (3)  커리어패스별  취업  담당  부서와  함께  입직시  학생의  꿈인  커리어패스와  연계되도록  한다.
                  (4)  커리어패스  구축  부서  및  진로교육  부서와  협의하여  커리어패스  사전  교육  등  취업진로교육  이
                    활성화되도록  한다.


                다)  운영  방법
                  (1)  안내를  실시하고  11월에  커리어패스  희망원을  받아  선택하도록  한다.(창의체험학습부)
                  (2)  담임교사-학과-창의체험학습부를  통해  커리어패스  심의위원회를  거쳐  최종  결정한다.
                  (3)  해외  인턴십을  통한  글로벌인재형의  교육은  글로벌역량고도화를  목표로  독일  취업형으로  추진한
                    다.
                  (4)  기술인재형  교육은  연구개발직  중심의  연구개발능력  고도화를  목표로  연간  특화교육을  추진하
                    며,  산학협력취업부의  채용약정맞춤교육과  연계하여  입직  운영한다.
                  (5)  기능인재형  교육은  기술직  중심의  기술숙련능력  고도화를  목표로  연간  특화교육을  추진하며,  산
                    학협력취업부의  채용약정맞춤교육과  연계하여  입직  운영한다.




                                                         -  63  -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