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12 - 완) I MDP 프로젝트 작품 보고서(전체과 1학년)1.6
P. 312
6. 학생별 소감
<김은서>
저는 이번 MDP(Meister Development Project) 작품 제작 및 과제 발표회 활동을 통
해 FM라디오의 제작 및 동작 과정을 눈으로 직접 보고 만들어 경험해보니 지금까지 우리의
일상생활 속에 항상 함께 있었으며 주변에서 흔하게 볼 수 있었기 때문에 잘 알고 있었다고
생각 해왔던 라디오가 새롭게 보이면서 저 스스로가 전공과목 중 어떤 부분에 취약한지, 그리
고 제가 아직 납땜에 미숙하다는 것을 알게 된 계기가 되었습니다. 또한 처음으로 친구들과 함
께 이러한 작품 제작을 해보니 지금까지 해왔었던 인문과목에서의 조별 과제와는 또 다른 협
동심이 필요했고, 개인의 노력이 더욱 더 많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비록 작품을 선정하고 제작하는 것을 조금 늦게 시작하여 남들보다 촉박하게 활동을 시작하
였지만 그 후로 몇 주간 작품에만 몰두하여 마침내 제가 만든 라디오에서 현재 방송중인 사람
의 목소리와 노랫소리가 흘러나왔을 때의 뿌듯함은 그동안 제작 과정에서의 노력과 겹쳐져서
더 큰 성취감으로 다가왔습니다.
단순히 주어진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 아닌 우리 스스로의 힘으로 단순한 PCB기판을 참고
하여 정확한 만능기판 회로도를 다시 그려야 했고, 핀이나 배열 간격이 맞지 않는 소자는 다른
PCB기판에 직접 옮겨야만 한다던 선생님의 말씀을 들으면서 그동안의 선배님들처럼 작품을
완성할 수 있을지 덜컥 걱정이 앞섰습니다. 그러나 팀원 서로의 조언과 다독임이 있었고, 선생
님의 도움으로 점차 완성되어가는 작품을 보며 나도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심어졌고, 이 과정
에서 포기하지 않고 완성한 작품에 대한 성취감으로 얻은 투기가 앞으로의 또 다른 활동에서
저를 더 잘할 수 있게 성장시키는 결실이 된 것 같습니다.
<박재환>
이번 명장양성프로젝트에서 라디오를 만들었다. 라디오라는 과제를 선택했을 때, 어려울 것
을 예상했기에 더욱 열심히 하게 된 것 같다. 처음 시작은 기존에 있는 제품의 PCB기판의 회
로도를 참고하여 만능기판에 옮기는 것 이었다. 이 부분에서 상당히 많은 시간을 소요하였기
때문에 후에 납땜할 때에 시간이 부족하였다. 몇 번의 수정을 통하여 정확한 회로도를 그렸으
나, 납땜 할 때에 평소에 했던 납땜보다 소자의 수가 상당히 많아서 헷갈리게 되었다. 소자가
바뀐 부분도 있었고, 배선을 하지 않은 곳도 있어서 전류가 전혀 흐르지 않았지만, 꽤 많은 횟
수동안 기판과 회로도의 비교를 통해 문제점을 찾게 되었다. 하지만, 문제는 그것뿐만이 아니
었다. 기존 제품에 들어있던 부품이 만능기판과 다리사이, 구멍사이의 간격이 달라서 어찌 해
야 할지 감을 잡지 못하였다. 하지만 새로운 PCB기판에 납땜을 하여 이 문제를 해결하였고,
결국엔 라디오를 동작시키는 것에 성공하였다. 내가 생각한대로 회로가 동작했을 때의 당시의
기쁨은 이루 표현할 수가 없다. 시간이 촉박했던 탓에 결국 실패하게 되지는 않을까 걱정을 하
기도 하였고, 조금만 더 하면 동작시킬 수 있을 것 같다는 희망의 끈을 놓지 않고 도전하였다.
- 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