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88 - 3-2
P. 388

14.  프로젝트를 마치며
              < 이연수>
                처음 프로젝트 주제를 정했을 때는 단순하고 간단해보였다 하지만 핵심 동작인.                                    LED 구현을 위한
              HC74595 IC  를 사용하는 것부터 어려움이 있었다.                  그래서 아두이노 오픈소스를 참고하며 Verilog
              HDL 언어로 코딩했다. 3       주만에 어느정도 틀이 잡혀 LATCH CLK               과 SHIFT CLK   에 맞춰 SIPO    로 LED
              를 출력하는게 가능해졌다 음성인식 또한 어려움이 있었지만 여러가지 방법으로 시도해본 결과 성공.
              적으로 구현할 수 있었다 처음에 실수로 작은 크기의.                       FND 를 구매해서 FND       를 구현하는데 어려움을
              겪었다 하지만 작년 선배들의 사용한.                2inch FND 를 구했다. 2inch FND      는 높은 전류를 요구하고, 9V
              를 인가해줘야해 어댑터와 74HC573              를 이용해 전압증폭을 했다 포맥스 구멍을 다 뚫고.                      LED 80  개
              (+) 와 GND  를 다 묶어 일일이 연결하는 일은 정말 시간이 많이 걸리고 감정적으로 힘든 일이었다 그.
              럼에도 불만없이 성실히 해준 조원들에게 고마웠다 처음에 전류 증폭을 위해.                                  ULN2803  를 사용하면
              될 줄 알았는데 GND        를 묶어서 ULN2981      를 사용해야 됐다 급하게 부품을 추가 주문했다 그러다 전.             .
              류증폭회로 부분을 뺐는데 정상적으로 동작이 돼서 당황스러웠다. FPGA                            칩과 라즈베리파이와 시리얼통
              신을 어떻게 해야 될지 막막했다 인터넷 브라우징과 기본 코드를 잘 설계해놔서 성공적으로 시리얼.
              통신까지 할 수 있었다 자바스크립트를 이용해 음성인식과 웹을 만들려고 했지만 라즈베리파이를 파.
              이썬으로 코딩하게 되어 터치스크린 부분을 파이게임을 통해 만들기로 계획을 수정했다 파이게임을.
              하기 위해 파이썬이라는 새로운 언어를 공부했다 처음에는 어려웠지만 공부할수록 재밌었다 정말 많.                                 .
              은 어려움이 있었지만 조원들 모두 포기하지 않고 맡은 일을 열심히 해줘서 성공적으로 프로젝트를 완
              성할 수 있었다.


              < 박승원>
                2017  지방 기능경기대회를 마친 후부터 정규 수업시간에 참여하여 프로젝트에 참여했고 수업 또한,
              참석하여 조원들의 과제발표회에 출품할 작품을 만드는데 일조를 했습니다 처음 방학 때.                                      MDP  조 짤
              때 저는 함께 준비할 조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저는 도움이 필요한 조에 들어가고 싶었고 그러다가 조.
              원이 4  명뿐인 3   조에 들어가게 되었습니다 이 조는 소프트웨어를 잘 다루는 친구들만 모여있어서 하드.
              웨어적 설계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습니다 저는 그런 상황에 처한 친구를 전담하여 도움을 주기로 결.
              심했습니다 제가 돕기로 한 조의 작품내용은 지하철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지하철 노선도였습니다.                                          .
              처음에 조금 뻔한 주제라서 걱정도 했지만 내용을 잘 살펴보니 흔히 보던 지하철 노선도 와는 많이,
              달랐습니다 흔히 볼 수 있는 지하철 노선도에.                   LED 와 음성인식을 탑재해서 사용자의 경로와 소요 시
              간까지 예측해서 알려주는 모습은 제게 커다란 흥미를 부여했고 누구보다도 더 열심히 참여했던 것 같
              습니다 완벽하게 하드웨어를 구성하고 싶었지만 추가할 내용이 자꾸 생기는 바람에 프로파일을 조이.
              고 풀고 하다 보니 조금씩 오차가 생겼지만 크게 문제가 없어서 다행이었다고 생각합니다 외형을 다.
              만들고 난 뒤 포맥스에 지하철 노선도를 붙이고 역마다 드릴로 구멍을 뚫어야 하는 일이 있었습니다.
              드릴 질은 간단했지만 자꾸 붙인 노선도 종이와 포맥스가 엇나가고 떠서 종이가 많이 손상되고 뚫은,
              구멍의 표면이 고르지 못해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그리고 또 그 구멍에 가공한.                                 LED 를 끼워야 하는데
              LED 의 양이 많고 가공까지 해야 해서 혼자 힘으로는 힘들어서 지루함이 느껴지게 되었고 발전이 더디
              어져 슬럼프에 빠지고 말았습니다 그 때 유동윤 학생과 오민호 학생이 많은 도움을 줘서.                                    LED  가공을
              성공적으로 마칠 수 있었고 마무리 단계를 가까스로 해낼 수 있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유동윤 학생이.
              프로그램을 최종 수정 및 제어 장치에 전송하니 완벽한 동작을 이루어냈습니다 그리고 해냈다는 것이.
              정말 마음 깊이 뿌듯함을 느끼게 하였고 팀원들과 기쁨을 함께 누릴 수 있었습니다 혼자서는 하기 힘,                       .
              든 일을 5   명이어서 조원을 이뤄 성공했다는 기쁨은 이루어 말할 수 없었습니다 프로젝트의 일원이 되.
              어서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끝마치게 되어서 협동심 배려심 등을 느낄 수 있어 정말 보람찬 경험을,
              한 MDP   과제 발표회 준비 및 활동이었습니다.






                                                         - 388 -
   383   384   385   386   387   388   389   390   391   392   3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