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20 - 3-2
P. 820

켓을 사용하려면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UDP                           를 사용한다 이 프로토콜에서는 메.
              세지의 크기에 약간의 제한이 있으며 메세지의 확실한 전달 역시 보장하지 않으며 통신 중 데이터를
              읽어 버리더라도 오류를 되돌리지 않는다.


              라. RAW
                RAW 소켓은 패킷을 가져오면 TCP/IP            스택상의 TCP, UDP       계층을 우회하여 바로 어플리케이션으로
              송신하는 소켓이다 이런 소켓에서 패킷은.                  TCP/IP 필터를 통해 전달되지 않으므로 원형 그대로의 패킷
              을 볼 수 있다 이는 모든 데이터를 적절히 처리하거나 헤더를 제거하고 이를 파싱하는 과정은 모두.
              수신 어플리케이션에서 담당해야 하는 것이다 실제.                      RAW  소켓을 이용하여 프로그래밍을 하는 일은 거
              의 드물며 만약 시스템 소프트웨어나 패킷을 분석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경우 필요 할 수도 있다.


              마. IP  주소와 포트의 이해
                IP  주소는 1  바이트 4   자리의 주소로 이루어집니다. (            예: 202.131.293.70)  이를 기억하기 힘들기 때문
              에 naver.com   과 같은 문자로 변환해서 사용하는데 이를 DNS(Domain Name Server)                     라 한다 하나의.
              IP  주소에서는 여러 가지 작업을 동시에 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 때 포트를 사용하여 여러 서비스를,
              사용하게 된다. 0      부터 1023    사이의 포트는 시스템에 예약되어 있으며, 1024                 부터 65535   가지의 포트는
              사용자가 임의를 사용할 수 있다.


              바. TCP  통신과 UDP    통신
                1)TCP 통신의 개념
                  TCP 통신은 전화와 같은 방식으로 동작한다 보통의 경우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알고 있어야 전화.
                를 거는 것처럼 TCP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상대방의 IP             주소와 Port   번호를 알고 있어야 연결을 요청
                할 수 있다 그리고 전화를 걸더라도 받아주지 않으면 계속해서 대기해야 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                    .
                버가 응답을 받아주지 않으면 계속적으로 요청을 하게 된다 물론 어느 순간에 포기하는 것도 마찬.
                가지입니다 만약 전화를 받았다고 생각했을 때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다 한번 연결되면 계속해서 상.              .
                대방에게 음성을 전달할 수 있는 것처럼 TCP                 통신에서도 계속적으로 소켓을 통해서 데이터를 주고받
                을 수 있다 전화가 연결된 후 끊기 전까지는 계속해서 통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데이터의 확인 절.                     .
                차도 거치게 된다 만약 전화가 잘 들리지 않는다면 상대방은 뭐라고요 라고 하는 것처럼.          ‘        ?’                 TCP  프
                로토콜도 자료도 받지 못했다면 다시 요청하는 메커니즘(Mechanism)                        을 가지고 있다.


                2) UDP 통신의 개념
                  편지를 받는 사람 입장에서 생각해 볼 때 편지가 왔는지 오지 않았는지는 편지함을 열어보기 전에
                는 알 수 없다 이것과 마찬가지로 상대방이.                  UDP 를 통해서 데이터를 보냈다 하더라도 UDP                  소켓을
                통해서 자신의 포트를 열어보기 전에는 데이터가 왔는지 오지 않았는지 알 수 없다 즉 자신의 로컬.
                머신에 소켓을 개설하고 데이터가 들어왔는지 오지 않았는지를 확인하는 메커니즘이 된다 이것은.
                편지가 우편함에 있는지 없는지를 확인하는 것에 비유할 수 있다. TCP                            와 UDP   프로토콜의 통신 메
                커니즘의 차이는 일반적인 생활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TCP                          통신은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데이
                터가 도착했는지 하지 않았는지 내부적으로 확인하게 된다 만약 하지 않았다면 재요청을 하는 메커.
                니즘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확인절차로 인해 속도 면에서 느리다 하지만.                      .        UDP 는 이러한 확인 절차
                를 거치지 않고 계속적으로 데이터를 보내기만 하고 받기만 하기 때문에 훨씬 빠른 속도로 처리될
                수 있다 속도 면에서는.          UDP 가 바르지만 UDP       는 데이터가 정확하게 도착했는지 하지 않았는지 알
                수 없는 비 신뢰성 프로토콜이다 이에 반해.                  TCP 는 이를 보장하는 신뢰성 프로토콜이다 예를 들어.                    ,
                CP 사와 관련되어 결제 및 중요한 인증부분을 개발 할 경우 TCP/IP                       로 개발하는 것이 신뢰성을 높일
                것이며 사내,      A  네트워크에 포함된 컴퓨터들에게 일종의 패치 파일이나 메시지를 전달 하고자 한다
                면 UDP  를 이용해야 할 것이다.


                                                         - 820 -
   815   816   817   818   819   820   821   822   823   824   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