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55 - 3-2
P. 955

조는 라즈베리파이에 모두 구현했으면 좋겠다는 말씀을 하셨다 그래서 우리는.                                 FPGA 는 사용하지 않고
              라즈베리파이와 안드로이드 어플만을 이용해 화재감지시스템을 만들 계획을 세웠다 우리가 구입한 물.
              품에는 화재감지에 필요한 가스센서 불꽃 센서와 이더넷 모듈 그리고 이더넷 모듈과 라즈베리파이을,     ,
              연결할 랜선 등이 있었다 라즈베리파이나 온도센서로 사용한.                         LM35, A/D   변환에 사용한 ADC0804         등
              나머지 물품은 학교에 있었기 때문에 따로 구입하지는 않았다 물품을 구입한 후 본격적으로 역할을.
              나눠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는데 세동이와 나는 라즈베리파이를 이용한 서버 구축과 라즈베리파이와 이
              더넷 모듈 간의 SPI      통신을 맡았고 인수는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 제작을 맡았다 또 태영이는 하드,                .   ,
              웨어 디자인과 제작 그리고 화재감지기를 관리할 중앙모니터 서버 구현을 맡았다 처음해보는 라즈베(        )              .
              리파이라 좀 낯설었지만 수업시간에 배운 내용과 인터넷에 라즈베리파이에 대해 검색해보며 찾은 내용
              들을 바탕으로 조금씩 해나갈 수 있었다 첫 번째로 진행한 서버를 구축 그 다음으로 진행한 이더넷.              ,
              모듈과 라즈베리파이의 SPI          통신 마지막으로 진행한 센서 인식을 차근차근하게 진행하면서 동작이 되,
              는 것을 보고 뿌듯함을 느꼈고 힘들게 코드를 짠 만큼 보람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렇게 전체,                           .
              적으로 코드를 짠 뒤 각각을 전부 연결해 테스트를 해봤는데 합치는 과정에서 생기는 문제들을 해결하
              느라 애를 먹었다 선생님께 여쭤보고 인터넷으로 검색해보며 문제 해결을 위해 열심히 코드를 수정했.
              다 이런 과정을 통해 작품을 거의 구현할 수 있었고 내가 짠 코드로 이렇게 작품이 완성되어 간다는.  ,
              것에 뿌듯함을 느낄 수 있었다 또 프로젝트를 통해 나의 실력이 많이 향상된 것 같아서 뜻 깊은 시간.  ,
              이었고 조원들과의 팀 프로젝트 활동으로 인해 협동심도 늘릴 수 있었다,                            .


              < 김태영>
                3 학년이 되고 1    학기 때 부터 시작한 MDP           활동 월요일 6     시간 화요일 시간 목요일2           2 시간 씩 일주일
              에 10 시간을 MDP     활동으로 보냈습니다 처음에 강인수 김지윤 김태영 장세동 최요한 이렇게.  ,  ,    ,       ,               5 명이
              한 팀이 되어 주제를 정했습니다 올해.                MDP  에서는 FPGA,     라즈베리파이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과제를 제출해야 했습니다 그래서 저의 조는 작년에 만들었던 무인 주차관리시스템을 업그.
              레이드 하여 과제를 제출하려고 했으나 아이디어가 없고 만들기도 힘들어서 결국 포기하게 되었습니
              다 그 뒤 저의 조는 강인필 선생님의 권유로 주제를 바꾸어 화재경보기를 만들게 되었습니다 이 화재.                                .
              경보기는 기존 경보기와 달리 각각 경보기마다 값이 정해져서 어느 호실의 어떤 방에 화재가 났는지
              까지 확인할 수 있고 현재 상태를 사용자가 확인하고 화제 여부를 판단 할 수 있는 경보기였습니다.
              화재경보기를 만들기 시작한 저의 조는 분단을 나누어 강인수 군이 안드로이드를 하고 장세동 군과 김
              지윤 양이 같이 라즈베리 파이를 하고 최요한 군은 외형제작을 하고 저는 서버코드 하드웨어 그리고,                                  ,
              외형을 했습니다. 4       월에는 화재경보기에 필요한 부품에 대해 조사하고 그 부품을 신청했습니다 하지만.
              신청했던 부품 중 온도센서 모듈을 아날로그 값이 아닌 디지털 값이 나와 출력 값이 1                                 비트가 나왔습니
              다 그래서.     2 학년 때 배운 LM35      라는 온도센서와 A/D         변환 IC  인 ADC0804   를 이용하였습니다. LM35
              는 온도가 1    도 올라 갈 때마다 출력전압이 0.01[V]               씩 증가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A/D              변환 후 온
              도를 읽기에 문제가 없었습니다 그리고 포맥스를 이용하여 화재경보기의 외형을 제작하였습니다 처음.                                     .
              에는 방을 3    개 만들려고 했으나 만들기 힘들고 보여주기도 힘들어서 벽을 만든 뒤 그 벽을 3                               개로 나누
              어 사용하게 만들었습니다. 5           월에는 화재경보기의 신호를 받을 수 있는 서버를 자바를 이용하여 만들
              었습니다 실행 시키면 화면이 뜨고 화제 감지기에 개수에 따라 버튼이 생기게 했습니다 유선을 통해.                            .
              화제에 대한 신호가 들어오면 그 값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호실의 버튼을 누르면 그 호실의 화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만들었습니다 이걸 만들 당시 버튼의 갯수를 들어오는 값에 따라 달라져야.
              해서 FOR   문을 이용해 버튼을 만들고 ACTION              을 하기 힘들었지만 인터넷을 보고 선생님께 물어봐서
              힘들게 만들었습니다. 6         월에는 화재경보기의 센서에 대한 회로를 만들었고 서버코드와 센서 코드를 합
              쳐서 오류가 없는지 검사했습니다. A/D              변환 IC   의 회로를 만드는데 기준전압 설정에 있어 문제가 생겼
              습니다 기준전압의.         1/2 를 입력해 주어야하는데 저항을 이용하여 500[mV]                  를 입력하려 했지만 IC        내부
              저항 때문에 예상한 전압으로 입력이 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가변저항을 연결하여 오실로스코프로.
              입력 핀에 500[mV]      의 전압이 걸리도록 설정했습니다. 7             월에는 화재경보기 외형에 센서 센서 구동 회,


                                                         - 955 -
   950   951   952   953   954   955   956   957   958   959   9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