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60 - 3-2
P. 960
3) 블루투스의 원리
블루투스의 무선 시스템은 ISM(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주파수 대역인 2400~2483.5MHz
를 사용한다 이 중 위아래 주파수를 쓰는 다른 시스템들의 간섭을 막기 위해. 2400MHz 이후 2MHz,
2483.5MHz 이전 3.5MHz 까지의 범위를 제외한 2402~2480MHz, 총 79 개 채널을 쓴다. ISM 이란 산업,
과학 의료용으로 할당된 주파수 대역으로 전파 사용에 대해 허가를 받을 필요가 없어 저전력의 전파를, ,
발산하는 개인 무선기기에 많이 쓰인다 아마추어 무선 무선랜 블루투스가 이. , , ISM 대역을 사용한다.
여러 시스템들과 같은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기 때문에 시스템간 전파 간섭이 생길 우려가 있는데 이를,
예방하기 위해 블루투스는 주파수 호핑(Frequency Hopping) 방식을 취한다 주파수 호핑이란 많은 수.
의 채널을 특정 패턴에 따라 빠르게 이동하며 패킷 데이터 을 조금씩 전송하는 기법이다 블루투스는 할( ) .
당된 79 개 채널을 1 초당 1600 번 호핑한다 이 호핑 패턴이 블루투스 기기 간에 동기화되어야 통신이.
이루어진다 블루투스는 기기 간 마스터. (Master) 와 슬레이브(slave) 구성으로 연결되는데 마스터 기기,
가 생성하는 주파수 호핑에 슬레이브 기기를 동기화시키지 못하면 두 기기 간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다 이로 인해 다른 시스템의 전파 간섭을 피해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하나의 마스터. .
기기에는 최대 7 대의 슬레이브 기기를 연결할 수 있으며 마스터 기기와 슬레이브 기기 간 통신만 가능,
할 뿐 슬레이브 기기 간의 통신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마스터와 슬레이브의 역할은 고정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서로 역할을 바꿀 수 있다.
4) 블루투스 기기 연결 방법
블루투스 기기를 서로 연결하는 방법은 그다지 복잡하지 않다 한두 번만 연결해 보면 누구라도 능히.
블루투스 기기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당연하겠지만 마스터 기기 슬레이브 기기 모두 블루투스를. , ,
지원해야 한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를 지원하는 스마트폰과 블루투스 헤드셋을 연결하는 예를 들면 스. ,
마트폰이 마스터 헤드셋이 슬레이브가 된다 헤드폰 전원을 켜고 스마트폰의 블루투스를 활성화하면 이, .
내 주변의 모든 블루투스 기기를 탐색한다 그중에서 연결을 원하는 헤드폰 모델을 선택하면 즉시 연결.
( 페어링- pairing, 두 기기를 한 쌍으로 묶는다는 의미 된다 블루투스 기기에 따라 연결 시 암호를 입력) .
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노트북에 블루투스 마우스 키보드 등을 연결하는 경우가 그러하다. / .
MS 윈도우 운영체제의 작업 표시줄에서 블루투스 아이콘을 클릭하여 장치 추가 메뉴를 선택한 다음‘ ’ ,
블루투스 기기를 탐색하여 연결하면 된다 필요에 따라 이때 연결 암호를 입력하여 연결을 완료하면 된.
다 암호는 일반적으로 슬레이브 기기에 부여된 문자 또는 숫자를 입력한다 아울러 일단 한번 연결되면. .
그 이후부터는 각 기기의 전원과 블루투스를 켤 때마다 자동으로 연결된다 블루투스를 지원하는 헤드셋.
이나 키보드는 있는데 정작 마스터 기기가 될 노트북 휴대폰이 블루투스를 지원하지 않을 경우가 있, ,
다 이럴 때는 블루투스 동글. (dongle, 중계기 을 사용하면 된다 이 동글은 일반적으로) . USB 메모리 모양
을 하고 있어 USB 포트에 연결하는 방식으로 쉽게 사용할 수 있지만 기기에 따라 별도의 전용 동글이,
필요할 때도 있다.
나 라즈베리파이를 이용한 컨트롤러 기술.
1) 개요
- 9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