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00 - 2020학년도 MDP과제발표회 자료집 (통신과) (3)
P. 400

Ⅲ  .  결론



             1     결과


            1.  실무결과
              처음  만들려던  스마트  도서관은  지금처럼  정류장에  위치한  도서관이  아니었습니다 기존  도서관을  더  스마.
            트하게  만들어  이용률이  높이려고  하였습니다 그러나  충분히  도서관들이  스마트하게  운영되고  있는  것을 .
            알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저희는  도서관에서  가장  불편하다고  생각하는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고민하였고 .
            그  결과  지금의  결과가  탄생하였습니다.
                안드로이드  앱에서는  서버에서  DB        에  있는  정보를  잘  전송하여  대출  현황과  각  기계에  어떤  책이  있는지
            확인  할  수  있고,  qt   에서는  로그인  기능을  할  때  서버와  통신하여  있는  아이디인지  정확하게  입력했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대출과  반납  기능을  하면  서버와  통신하여  동작에  맞게  DB                 가  수정됩니다 이러한  코드를 .
            짜는  과정에서  Nodejs    와  안드로이드  실력이  많이  늘게  되었습니다 또한 .               qt 와  펌웨어  코드를  합치며  오류
            를  수정하며  파이썬  실력이  향상되었습니다.



            2.  기대효과

               가 언제  어디서든지  도서관을  이용할  수  있다.                 .
               나 버스  정류장의  부족한  서비스를  충족시킬  수  있다.                   .


             2     시사점


              현재  스마트  도서관  JMB    에는  책이  권밖에  못  들어갑니다 한  정류장에서  빌릴  수  있는  책의  권수가  한정4  .
            되어  있어  읽고  싶은  책이  없는  경우가  많이  발생할  것을  예상됩니다 저는  이를  사용자들간의  커뮤니케이.
            션을  통해  보완하고  싶습니다 내가  읽고  싶은  책이  생기면  이를  어플리케이션  등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
            는  사이트에  올려  다른  사용자들이  경로가  맞는  다면  책을  가져다주어  마일리지를  받는다면  좋을  것  같다
            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번  프로젝트에서  원래  딥러닝을  이용하여  책에  있는  문자를  인식하여  책이름을  추출하여  반납하는  방식
            으로  계획을  하였는데  생각보다  어려워  중간에  계획을  바꾸게  되었습니다 다음에는  딥러닝을  더욱  깊게  천.
            천히  공부하며  더욱  향상된  실력으로  임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또한  계획에  빈틈이  많아  진행을  함에  있.
            어  서툴렀는데  계획하는  것에  조금  더  초점을  두고  진행하는  습관을  들이도록  해야할  것  같습니다.

























             416     인천전자마이스터고등학교                        -  416  -
                        정보통신기기과
   395   396   397   398   399   400   401   402   403   404   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