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01 - 2020학년도 MDP과제발표회 자료집 (통신과) (3)
P. 401

3     느낀점




                < 조장  최민우>
                    3 년  동안  배운  전공을  사용해서  작품을  만드는  건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내  고등학교  생활을  마.
            무리하는  mdp     활동을  진행하면서  열심히  하자는  의욕이  앞섰다 하지만  처음으로  해보는  파이썬에  당황스.
            럽기도  하고 경험해보지  않은  부분이다  보니  어려움이  앞섰다 하지만  친구들 선생님에  도움을  받기도  하,   .   ,
            고 인터넷에서  찾아보기도  하며  기능을  하나 둘  완성해나갔다 인터넷을  찾으며  새삼스레  요즘  인터넷은 ,   ,   .
            많은  정보가  있구나  하며  느끼기도  하였다.  3          년간  같이  지내오던  친구들과  함께  작품을  만들어  전시를  할
            수  있다는게  큰  행운인  것  같다 의견이  달라  부딪힐  때마다  잘  해결해  나가  작품의  완성을  위해  힘써준  친.
            구들에게  고맙다.


                < 김민정>
                      나는  올해도  작년과  같이  스마트시티란  주제를  바탕으로  스마트  도서관  제작을  하게되었다 우리동네 .
            도서관만  해도  책을  대출하려면  보통  시전까지  가야한다 학생들을  통틀어  현대  사회인들은  소위  말하는 5  .
            야자 야근  등의  야간작업  또는  후의  피곤함으로  도서관을  들리지  못하는  경우가  대다수인데  우리가  제작하,
            게  될  스마트  도서관  -     장문Book  은  이러한  사회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거라  생각했다 그렇게  해서  기.
            획한  장문Book   에서  난  안드로이드  앱개발을  맡았다 처음에는  역할분담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고 동.                         ,
            작원리가  불분명하여  많이  혼란스러웠다 하지만  조원들의  책임감과  열정  덕에  나  또한  정신줄을  놓지  않게.
            되었다 안드로이드와  서버 데이터베이스를  연동하는  것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지만  조원들이  함께  있었기.   ,
            에  극복할  수  있었다 팀  프로젝트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는  것은  서로  협력할  줄  알아야  한다는  점이다 흩.                      .
            어지면  죽고  뭉치면  산다는  말도  있듯이  말이다.


                < 김형균>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친구들과  많은  갈등을  겪고  개개인이  많은  일들을  도맡아  하다보니  처음에는
            프로젝트를  진행하려고  하지  않았지만  하다보니  서로서로  호흡도  잘  맞고  안  맞던  부분을  맞추어  가며  작
            품을  완성해  갈수록  나또한  완성되어  가는  듯한  기분이  들었다.                     처음  접해보는  딥러닝부터  시작해서
            Nodejs  서버와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조금씩  더  공부하며  작품을  만들어  가다  보니  어느  순간에는  즐겁게
            프로젝트를  진행했던  것  같다 더욱  많은  내용을  공부하며  프로젝트를  진행해보고  싶다.                       .


                < 이성규>
                    프로젝트를  하면서  소통과  공유의  중요성을  알게  되었습니다 프로젝트  주제를  정할  때만  해도  회의를 .
            여러  번  해서  그런지  서로  알고  있는  내용이  같았는데  역할을  분담하고  세부기능을  정해가면서  회의도  여
            러  번  안  하고  서로  간에  소통이  없다  보니까  서로  알고  있는  기능들이  조금씩  달랐습니다 다른  애는  이러.
            한  기능이  있다고  하는데  저는  들어본  적도  없고  이번엔  제가  이러한  기능이  있다고  하는데  다른  애가  그
            기능  다른  방식으로  바뀌지  않았느냐  이러면서  갈등으로까지  이어지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그  결과 프로젝.                        ,
            트  진행속도도  더디어졌고  주제까지  바꾸는  일이  있었습니다 또 제가  현장실습을  나가있을  기간에는  제가 .   ,
            맡은  일이니까  해야할  거  같아서  채팅방에  물어봤는데  아무도  답이  없어서  제가  맡은  일을  못하는  문제점
            도  있었습니다 그래서  요즘  저희  조는  한  테이블에  앉아  서로  정해놓은  기능에서  좀  어려워서  못하겠는  부.
            분이나  좀  더  좋게  수정했으면  좋겠다  싶은  부분이  있으면  바로바로  상의해서  정하고  또  막히는  부분이  있
            거나  오류가  생겼을  때  에는  서로  도움을  청하고  같은  조에  아는  사람이  있다면  해결방법을  공유해  주거나
            같이  인터넷을  찾아보는  등  소통과  공유를  잘하며  한  걸음씩  완성에  다가가고  있습니다 이것을  겪으면서 .
            제가  생각하는  팀  프로젝트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개개인의  실력도  있겠지만  서로  간에  소통과  아는  것을
            공유하는  것이  되었습니다.



                                                                                      인천전자마이스터고등학교
                                                         -  417  -                       정보통신기기과         417
   396   397   398   399   400   401   402   403   404   405   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