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2 - MDP2020-3
P. 82
76
| 인천전자마이스터고등학교 ·············································································································
10) 원의 정량 통이 될 약통을 뚫음. (똑같이 홀 커터를 이용함)
11) 약통을 뚫을 때에는 뚜껑이 3.5cm이므로 40짜리 홀 커터를 이용하여 뚫음.
12) 여유간격이 나오게 뚫어야 하는데, 너무 딱 맞게 뚫게 되면 사료가 정량 통에서 잘 빠져
나오지 못하기 때문이다.
13) 홀 커터로 구멍을 뚫은 정량 통을 흡음 테이프로 밑을 감아줌.
14) 재단한 플레이트 구멍에 맞추려고 하기 때문이다.
15) 플레이트는 정량 통이 잘 들어갈 수 있도록 여유공간을 주었음
16) 흡음 테이프로 감고 나서 여유공간을 없애기 위해 글루건으로 매꿔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