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0 - MDP2020-3
P. 90
84
| 인천전자마이스터고등학교 ·············································································································
1) 처음에 구성은 사료 통 3개와 물통 1개로 구성하였다. 사료 통 3개와 물통 1개는 우유병
을 이용하였다.
2) 각각의 사료 통은 적외선 수 발광 센서가 3쌍씩 연결되어있다. 그리고 물통에는 수위감지
센서가 달려있다.
3) 이 것을 디스플레이적으로 표현을 해 얼마만큼의 사료가 남았는지, 사료의 잔량을 확인하
기 위해서 사용했다.
4) 워터펌프는 아두이노 워터펌프를 사용하였다.
5) 워터펌프에 물이 나올 수 있는 부분에 고무호스를 달아 아래로 연결했다.
6) 워터펌프는 계전기회로를 사용했습니다.
7) 그 이유는 푸쉬 스위치를 누르게 되면 물통에 있는 물이 전부 다 나와 버리게 돼서 곤란
한 상황에 처해 있었습니다. 하지만 계전기 회로를 사용하면 계전기의 접점을 이용할 수 있
어서 계전기의 접점이 붙였다, 뗐다를 조절하여 물이 나오는 양을 제어 할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계전기 회로를 사용했습니다.
8) 중간에 사료를 운반하는 통이 움직여 맨 아래 통로로 사료가 나올 수 있는 구멍까지 도달
하게 되면 맨 아래로 사료가 떨어지게 구성했습니다.
9) 중간에 사료를 운반하는 통은 실제 사료를 넣어보기도 했고, 비비탄을 넣어 실험해봤습니
다. 우리가 아는 웬만한 사료의 사이즈로는 중간에 사료를 운반하는 통의 움직임을 제한하
지 않았습니다.
10) 모든 동작은 푸쉬 스위치를 누르게 되면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