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6 - 완) I MDP 프로젝트 작품 보고서(전체과 1학년)1.6
P. 56
못해서 설명도 못해서 아쉬웠다. 그래도 처음 사용해보는 블루투스 통신과 앱인벤터 만들고 성공시켜서 한층
성장한 듯 했다.
<전자제어과 2학년 1반 김태균>
2학년으로 진급을 하고, 제어회로설계 라는 새로운 과목을 배우면서 알게 된 센서 랩 뷰를 배우고, 활용하면
서 각종 센서들을 접하게 되었다. 수업 시간에는 온도 센서와 거리감지 센서 등 몇 가지만 배웠는데, 평소에
센서라는 부품에 관심이 많았던 터라 수업 시간에 배웠던, 접했던 센서들 이외에 어떤 센서가 있는지 알고 싶
었다. 그래서 MDP 수업시간에 평소 관심이 많았던 소리 감지 센서, 인체감지센서, 온습도 센서 등 새로운 센
서들을 스스로 알아냈을 뿐 만 아니라, 선생님의 권유로 휨 센서와 같은 신기한 센서들도 접해 볼 수 있었다.
이런 센서들을 활용해서 현재 실내의 온도와 습도를 나타내는 것부터, 피사체로부터의 거리를 나타내주는가
하면, 휘는 정도가 얼마나 되는지 감지하는 것 까지 실습해보며 알아갔고, 이를 2학년 MDP 프로젝트를 만드
는데 활용하여 작품을 만들고 싶었다.
그래서 구상하게 된 작품이 스마트 하우스, MarS 라는 작품이었다.
(작품의 설명이나, 소개는 우리 조의 보고서에 모두 작성해놓았으니 소개는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처음에 조를 꾸리고, 작품을 구상할 때부터, 우리가 구현 할 수 있는 센서 들을 찾고, 선별해 대강 틀을 잡았
다. 위에서 언급했던 센서들을 단번에 적용을 성공한 것은 아니었다.
특히 온습도 센서는 코드비전에서의 소스 제작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던 터라 소프트웨어 제작을 맡았던 친구
들이 애를 먹었고,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할애하였으나, 결국 소스 구현을 실패 했던 부분이었다. 그래서 모두가
온습도 센서부를 포기 하려던 차에, 제작 초기에 온습도 센서와 연동되는 부분들을 구상한 나는 이것을 포기
하게 되면 그에 연동되어있는 기능들도 포기해야 하기 때문이기도 하고, 가장 구현해보고 싶었던 기술이었기
때문에 더욱이 포기할 수 없는 부분이었다. 그래서 작년에 배웠던 아두이노를 활용하면 온습도 센서로부터 값
을 받아들이는 기능을 구현 할 수 있다는 친구의 조언에 힘입어 소스를 찾고, 알맞게 고쳐서 구현에 성공했으
며, 구상에 없었던 LCD로 센서들이 읽은 값을 표현해주는 기술까지도 배우고, 구현할 수 있었다.
이번 MDP프로젝트 수업으로 인해서, 여러 가지 센서들에 대해서 알고, 활용 방법을 알아보고, 각 센서를 구
현 할 소스를 직접 제작하고, 이해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었고, 또한 하드웨어 제작을 맡음으로 인해 프로파
일의 치수를 재고, 직접 자르고 조립해 뼈대를 구성하는 등의 경험을 해볼 수 있었으며, 이런 기술뿐만 아니
라, 친구들과 함께, 동료와 함께 팀을 이뤄 이렇게 우리가 하고자 했던 것을 이뤄내는 경험을 하여, 협동심과
각자 맡은 의무를 해내고자 하는 책임감과 문제를 직시했을 때 해결하고자 하는 의지와 문제 해결 능력을 기
를 수 있어, 후에 취업을 해, 회사에서 직무를 수행 할 때 필요한 능력들을 기를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고 생
각한다.
6. 문제점 및 해결
문제점이나 어려움이라고 하면 정말 처음부터 끝까지 어려움의 연속이었던 것 같다.
구상을 한 것을 토대로, 3D 프로그램으로 집을 그릴 때, ‘이게 정말 가능할까?’라거나,
‘에이 이건 안될거야 빼자’ 라는 말이 적잖이 나왔다. 모두들 처음 접해보는 센서가 있는가 하면, 학교에
서 배우지 않은 프로그램을 사용해야 돼서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에서 이것저것 건드려 보면서 터득한
- 4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