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7 - 완) I MDP 프로젝트 작품 보고서(전체과 1학년)1.6
P. 57

이른바  ‘야매’로  사용법을  익히는가  하면,  또  구본홍  조장은  처음  초기  구상에  포함되어  있는  ‘NFC  태그’
            기술을  활용하기  위해서  JAVA라는  언어를  스스로  공부해야했다.  그러나  바쁜  일상  속에서  시간을  쪼개
            서  공부해서  모든  회로와  연동되는  고급  기술을  구사하기  위한  코드를  작성하는  데에는  너무  큰  어려움
            이  있고,  시간이  많이  할애  될  것  같아  다른  팀원들과  상의  끝에  ‘NFC  태그’  기술은  포기하기로  했다.
            대신  블루투스  통신을 활용한 부분에서의 기능을 보강하고, 심화해, 보완했다.
            또  작품의  특성상  벽면마다  기판이  붙어야  했고,  그  기판들이  분리되어있어  점퍼선을  많이  사용해야  했
            다.  이  때문에  캐드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PCB  기판을  제작하는  기술을  모두가  구현  할  수  있었으나,  향
            후  발생할  문제점들을  생각해  PCB  기판  대신  만능  기판에  납땜을  하거나,  암수  커넥터  등  커넥터로  간
            단히  구현해냈다. 그러나 가장 큰 문제점이 이들로부터  발생했다.
            만능  기판에  납땜한  배선들은  하드웨어에  부착하는  과정이나  단순  이동  과정에서도  뚝뚝  끊겨나갔고,
            복잡한 배선들  때문에 동작상의 문제가 발생해도, 어떤  선이 단선됐는지 식별하기
            심히  어려웠다.  또한  배선들이  서로  얽히고  꼬여서,  부착  및  작동  검사  때  어려움이  있었으며,  무엇보다
            판단  미스로 인해  배선들이  너무 짧아 기판과 벽의 거리가 터무니없이 멀었다.
            이를  보완할  방법은  많았으나,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었고,  열을  너무  많이  받으면  센서
            들이  망가질 우려가 있어서, 그냥 연장하는 방식으로 보완했다.
            또  부착하는  과정에서  아크릴  본드나  글루건을  사용했는데,  고온의  글루가  센서  외부에  직접  닿아  나중
            에는  센서가  오작동을  일으키거나  간혹  작동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이는  후에  수리  하는  과정에
            서 차차  보완 할 계획이다.
            하드웨어를  제작하는  과정에서는, 프로파일을  올해 처음 다루는 터라 어려움이 있었다.
            프로파일을  JigSaw로  절단하는데 정교하게 절단하지 못했고, 생각보다 힘들었다.
            또  아크릴의  치수를  재고  절단했는데,  이것이  프로파일에  고정될  크기를  생각하지  못해  옆면의  아크릴
            은 조금 작았고, 앞면 아크릴은 조금 컸다.  작은 아크릴은  밑에 아크릴  조각을 받쳐 맞췄고, 큰  아크릴은
            아크릴 절단기로 보다 정교하게 절단해 크기를  맞출 수 있었다.


            현장에서  맞닥뜨리는  어려움들은  이보다도  훨씬  많았고  난해했지만  갖은  방법을  동원해  해결해  나가는
            조원이 대견하고 훌륭했다.


































                                                         -  50  -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