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69 - 완) I MDP 프로젝트 작품 보고서(전체과 1학년)1.6
P. 769

II.  하드웨어








            1.  개요




              우리가  버리는  쓰레기의  68%는  재활용  되고  있다.  재활용은  자원과  에너지를  절약함으로써
            환경오염의  감소와  경제적  이익을  가져오는  1석  2조의  효과가  있다.  분리수거가  제대로  되어
            야  쓰레기를  재활용  할  수  있지만,  분리수거하는  데에  귀찮음을  느끼는  사람들은  쓰레기를  분
            류하지  않고  버리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생각해낸  것이  ‘자동분리수거시스템’이다.  쓰레기를

            여러  분류로  나눌  수  있지만,  우리는  캔류,  플라스틱류,  유리류  이렇게  크게  3가지로  나누어
            분리수거  할  것이다.  자동분리수거시스템은  현재  사람들이  직접  하나씩  분류해  버리는  작업을
            센서를  통해  쓰레기를  구분하여  버림으로써  사람들의  수고를  덜어주고  보다  정확한  분리수거

            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우리는  이  시스템을  아파트  분리수거장에서  사용한다는  전제로  프로젝트를  계획하였다.  때문
            에  아파트  주민들에게  각각  RFID태그를  주고  태그에는  아파트  동,  호수가  저장되도록  하여  그
            아파트  주민들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전체적인  동작을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사람들

            이  쓰레기를  버리기  위해  RFID카드를  인식시키면  UART  통신을  이용하여  저장된  RFID태그  값
            을  메인  프로세서(Cortex-M3)에  전송하면,  쓰레기통의  문이  열리고  LCD에  정보가  디스플레이
            된다.  그리고  쓰레기를  버리게  되면,  모터가  작동하여  컨베이어벨트가  움직이게  된다.  쓰레기
            는  컨베이어벨트를  타고  센서  앞을  지나가게  되고  그  때  센서가  쓰레기를  인식하면  메인  프로

            세서(Cortex-M3)가  그  센서의  종류에  따라  다른  값을  ATtiny2313에  전송하게  되고
            ATtiny2313은  모터  드라이버(L298)에  연결  되어  있는  모터를  돌려  컨베이어벨트  위를  지나가
            는  쓰레기를  알맞은  통에  분류한다.
              이러한  ‘자동분리수거시스템’은  쓰레기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분리할  때  사용할  수  있으며  분

            리수거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3가지  쓰레기에서  그치지  않고  더  나아가  다양하고  많은  양의
            쓰레기를  분류하는  데에  응용할  수  있다.























                                                         -  762  -
   764   765   766   767   768   769   770   771   772   773   7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