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01 - 2
P. 701

< 남수연>
                학교에 들어와서 하는 두 번째 MDP               프로젝트이다 이번 프로젝트는 배울게 많았던 시간이었던 것.
              같다 우리 조는 카메라 슬라이더라는 주제에 올 때까지 많은 주제 변경이 있었다 그렇게 힘들게 정한.                     .
              주제이니 만큼 작품을 꼭 완성시키고 말겠다는 의지가 있었다 하지만 우여곡절이 많았던 것 같다 우.                                      .
              리가 시킨 부품들이 MDP           발표회 며칠 전에 도착을 해서 부랴부랴 만들기 시작하였다 과부장 선생님.
              께 도움을 받기도 하고 3         학년 선배들에게도 도움을 받았다. 1               학년 때는 그냥 LED       와 부품 몇 개만 꽂
              으면 됐었는데 2      학년 들어오고 나서는 배운 것이 많아지고 그렇다보니 그만큼 외관도 커졌다 그렇게.
              외관이 완성되고 난 뒤 승준이의 모터제어 소스를 넣고 동작을 해보았는데 처음에는 잘 안됐다가 고치
              고 고치다 보니 나중에는 잘 되었다 하지만 선 정리를 잘 하지 못해 줄이 꼬일 수밖에 없는 상황이.
              왔지만 그 부분에 대해서는 최보람 선생님의 도움으로 잘 정리할 수 있었다 이번.                                 MDP  프로젝트를 하
              면서 1  학년 때보다는 전공 실력이 향상된 느낌이고 무엇보다도 조원들과 협동하여 작품을 완성시킨 것
              에 의미가 있는 것 같고 보람찬 한 달이었던 것 같다 비로 준비한 시간은 짧았기 때문에 조금 아쉬운.
              부분도 있긴 하지만 내년 3          학년 때에는 우리가 만든 것 보다 더 멋있고 도움이 되는 작품을 만들고 싶
              다.


              < 안청빈>
                1 학년 때보다는 같은 팀원끼리 대화를 많이 하려고 노력했다 대화를 많이 하고 생각을 함께 공유.
              하면서 협동심은 더더욱 늘어만 갔던 것 같다 처음에 무엇을 만들지 모두와 고민해 보았는데 의외로.                                  ,
              의견 모두 비슷한 주제여서 마음을 하나로 모으기 쉬웠다.
                하지만 처음에 모두 생각했던 프로젝트 주제가 무산 되어서 처음부터 다시 생각해 보았는데, “                                      누구
              나 쉽게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슬라이더를 만들어 보자 라는 의견에 모두 마음을 모았다 모두의 의!”                            .
              견을 통일하는 것은 쉬웠지만 설계를 하는 것은 어려웠다.
                촬영을 할 때 부드럽게 화면이 찍혀야 하므로 흔들림이 없어야 했으며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 할 수,
              있어야 했다 해답은 쉽게 나왔지만 모터가 너무 무거워 지지대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할까 하는 걱정과.
              우려가 있었다 부품을 신청했지만 늦게 와서 테스트도 제대로 해보지 못 한 채 하드웨어 제작에 힘을.
              쏟았다 선생님의 도움을 받아 제작을 성공했지만 동작이 되었다가 안 되었다가를 반복해서 힘들었다.         ,                                .
              하지만 휴대폰으로 모터를 제어해서 촬영하는데 성공해서 많이 뿌듯했고 친구들과 같이 힘들게 조금,
              이나마 성공 시켰다는 게 기쁨이 깊게 남았다.
              또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친구들과 협동해서 만들었다는 게 자부심으로 남았다.
                작품을 완성시키고 나서 카메라를 카메라 슬라이더에 달아 직접 동영상을 촬영해 보았는데 우리가,
              원했던 부드럽게 촬영되는 영상들이 나왔고 전시하기 전에 시험적으로 작동 시켰을 때 컸던 소음도,                             ,
              직접 전시장에서 촬영 할 때는 소음이 잘 안 났다.
                직접 촬영한 영상들을 볼 때 많이 보람참을 느꼈다 프로젝트를 진행 할 때는 못 느꼈던 감정과 기.
              분들이 프로젝트를 끝낸 뒤 쏟아지듯이 느껴졌다 하지만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힘들기만 한 것은 아.
              니었다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의견이 부딪히고 서로 대화하면서 의견을 조율하고 또 다시 문제에 부.  ,                    ,
              딪혔을 때 는 함께 협동 하면서 결국 문제를 풀어냈을 때 협동심과 팀에 소속되어 있다는 소속감도,
              많이 느꼈다 이런 것들을 느끼면서 프로젝트를 끝냈을 때의 기분은 이루 말할 수 없었다 고등학교온.                              .
              뒤 2 번째로 프로젝트를 진행했지만 1              학년 때보단 더 많이 성장한 친구들의 모습들을 느낄 수 있어서
              그런지 프로젝트의 난이도가 향상 되었지만 친구들과 함께 프로젝트를 완성시켰다는 것이 또 있을 내
              년의 프로젝트를 설레게 한다.


              < 이시온>
                이번 MDP    프로젝트 활동을 통해서 정말 많은 경험을 한 것 같다. 1                      학년 때에는 MDP      활동이여도 각
              자 작품을 만들기에 바빠서 팀 프로젝트와는 거리가 멀었다 그런데.                           2 학년이 되어서 한 MDP        활동은 정
              말 조별과제라는 느낌이 정말 크게 느껴졌고 내가 못한다고 가만히 있는 것이 아니라 조원들에게 혹시


                                                         - 701 -
   696   697   698   699   700   701   702   703   704   705   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