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05 - 3-2
P. 605

스텝모터는 1     상여자 방식을 선택하였고 일정 각도를 회전한 후 반대방향으로 똑같이 회전하는 기
                능을 넣었다. DC     모터는 스탭모터가 정지했을 때 0.5             초동안 회전하여 분사기의 분사 스위치를 누르게
                된다.


              라. TCP   통신
                1)  소켓 통신
                  가 네트워크 프로그래밍의 정의)
                    서로 떨어져 있는 호스트 컴퓨터 들 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현하는 것(  )
                  나 소켓이란)     ?
                    소프트웨어로 작성된 추상적인 개념의 통신 접속점이다.
                  다 소켓의 기능)
                    (1)  통신할 대상이 멀리 덜어져 있을 경우 호스트간에 연결을 위해 필요하다.
                    (2)  네트워크 응용 프로그램은 소켓을 통하여 통신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2)  소켓의 정의 및 종류
                  가 스트림)
                    스트림 소켓은 양방향으로 바이트 스트림을 전송 할 수 있는 연결 지향형 소켓으로 양쪽 어플리
                  케이션이 모두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는것을 의미한다 스트림소켓은 오류수정 전송처리 흐.                           ,         ,
                  름제어등을 보장해 주며 송신된 순서에 따른 중복되지 않은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이 소켓은.
                  각 메세지를 보내기 위해 별도의 연결을 맺는 행위를 하므로 약간의 오버헤드가 존재한다 그러므.
                  로 소량의 데이터보다는 대량의 데이터를 보내는 경우에 적당하다 스트림소켓은 이러한 품질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 TCP           를 사용한다.


                  나 데이터그램)
                    명시적으로 연결을 맺지 않으므로써 비 연경형 소켓이라고 한다 메세지는 대상 소켓으로 전송.
                  되며 대상 소켓은 메세지를 적절히 수신한다 스트림소켓을 사용하는것이 데이터그램 소켓을 사용.
                  하는것보다 더 신뢰성이 높은 방법이지만 연결을 수립하는데 드는 오버헤드는 무시할 수 없다 데.
                  이터그램 소켓을 사용하려면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데어터를 전송 할때 UDP                                를 사용한다 이 프.
                  로토콜에서는 메세지의 크기에 약간의 제한이 있으며 메세지의 확실한 전달 역시 보장하지 않으며
                  통신 중 데이터를 읽어 버리더라도 오류를 되돌리지 않는다.


                  다) RAW
                    RAW 소켓은 패킷을 가져오면 TCP/IP            스택상의 TCP,UDP       계층을 우회하여 바로 어플리케이션으
                  로 송신하는 소켓이다 이런 소켓에서 패킷은.                   TCP/IP 필터를 통해 전달 되지 않으으로 원형 그대
                  로의 패킷을 볼 수 있다 이는 모든 데이터를 적절히 처리하거나 헤더를 제거하고 이를 파싱하는.
                  과정은 모두 수신 어플리케이션에서 담당해야 하는 것이다 실제.                           RAW 소켓을 이용하여 프로그래밍
                  을 하는 일은 거의 드물며 만약 시스템 소프트웨어나 패킷을 분석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경우 필
                  요 할수도 있다.


                3) IP  주소와 포트의 이해
                  IP  주소는 1   바이트 4    자리의 주소로 이루어져서 예(            : 202.131.293.70)  기억하기 힘들기 때문에
                naver.com  과 같은 문자로 변환해서 사용하는데 이를 DNS(Domain Name Server)                     라 합니다 하나.
                의 IP  주소에서는 여러가지 작업을 동시에 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 때 포트를 사용하여 여러 서비,
                스를 사용하게 됩니다. 0         부터 1023    사이의 포트는 시스템에 예약되어 있으며, 1024                 부터 65535   가지
                의 포트는 사용자가 임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605 -
   600   601   602   603   604   605   606   607   608   609   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