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57 - 3-3
P. 1057
2. UART 통신
가. UART 와 RS232 의 개요
1) UART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and Transmitter)
가 시리얼 기반의 통신 방식으로 일반적으로) RS232 프로토콜을 통해 통신을 지원하는 방식
나) UART 는 컴퓨터에게 RS-232C DTE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모뎀이나 다른 직렬장치들과,
통신하거나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함.
다) UART 의 동작
(1) 병렬 데이터를 하나의 단일 직렬 비트 스트림으로 변환
(2) 직렬 비트 스트림을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도록 바이트로 변환
(3) 패리티 비트 처리
(4) 시작 비트와 정지 비트 처리
(5) 키보드나 마우스로부터 들어오는 인터럽트 처리
2) RS-232C
가 직렬 전송을 위한 규격)
나) 1969 년 미국의 EIA(Electric Industries Association) 에 의해서 정해진 표준 인터페이스
다 데이터 터미널 장비) (DTE) 와 데이터 통신장비(DCE) 간의 직렬" 2 진 데이터 통신 의 제반 인터"
페이스 규약을 규정한 것
라) RS-232C 의 동작
(1) 병렬을 직렬로 직렬을 병렬로 바꾸어 주는 작업
(2) RxD 와 TxD 라인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
(3) RS-232C 의 송신 측에서 전송 전압을 끌어 올려 먼 거리까지 전송이 가능하다.
3) RS-232C 를 이용한 비동기식 전송 시 규약
가 통신 속도)
(1) 단위 시간당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
(2) Baud Rate: 초당 전송되는 신호 요소(Signal) 의 수
나 시작 비트와 정지 비트)
(1) 데이터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시작과 정지 비트를 사용
(2) 전송을 시작할 경우 1 을 내보내고 8[bit] 를 전송한 후 정지 비트를 전송
(3) 시작 비트는 고정되어 있고 정지 비트는, 1, 1.5, 2[bit] 중 하나를 선택
다 패리티)
(1) 오류 검출을 위해 사용
(2) 패리티의 종류는 짝수 및 홀수 방식이 있고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음,
(3) 데이터 길이가 7 인 경우에 8 번째 비트를 패리티 비트로 이용
라 자료 길이)
하나의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데이터 길이 비트 수 로( ) 7 또는 8[bit] 이다.
나. ATmega128 의 USART 포트
1) ATmega128 의 직렬통신 포트
가 직렬통신 포트) USART(Universal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Receiver and
Transmitter) 2 개 내장 (USART0, USART1)
- 105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