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33 - 3-3
P. 1133
구성하고 나서 (U10)74LS08 의 2 번 핀을 오실로스코프로 찍어서 주파수가 37.9Khz 에 가장 가깝게
가변저항을 돌리면 된다 저항값은. 213ohm 정도다 이 값은 항상 같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오실로 스코.
프를 사용하여 조절해야한다 또한 조절 하다보면. 37.9Khz 와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왜냐하면 싸구.
려 가변저항을 사용하거나 저항과 캐패시터의 오차도 무시 못하기 때문이다. 36.9Khz 에 근사한 값으
로 조절해라 정리하면 결국 자신이 보내려는 신호와 캐리어 신호가. AND GATE 를 통해 캐리어 주파
수에 원신호 보내려는 신호 가 실리는 과정이다( ) . BASE BAND MODULATION 의 경우가 아닌 캐리어
주파수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의 경우 원리는 다 이 경우와 같다 캐리어 주파수에 실린 원신호는. U10
의 3 번 핀을 통해 나가게 되고 이 출력 값은 0 혹은 1 이므로 EL-1KL2( 적외선 발광센서 이 출력 값)
에 따라 발광했다가 안했다가 할 것이다 즉. U10 의 3 번 핀에서 1 이 나가면 TR(C1815) 가 turn on 되
어 TR 의 이미터와 컬랙터가 도통되므로 컬랙터와 이미터간 전압차가 거의 0 에 가까워 지고 발광센서
는 순방향 바이어스 되어 발광할 것이다 물론 일반. LED 와 다른 적외선 LED 이므로 눈에 보이진 않는
다. 하지만 볼 수 있는 방법이 있다. 디지털 카메라로 바라보면 발광시 불빛이 보인다. 그럼 왜
U7(74LS14) 를 사용한 이유는 (IR_TX 의 신호 값과 실제 발광센서를 통해 나가는 신호의 값을 비교하
여 보면 답이 보인다.)
여기서 사용한 적외선 수신모듈(KSM-603LM) 은 37.9Khz 의 캐리어 주파수를 받아들이는 모듈이다.
즉 캐리어 주파수 없이 그냥 원신호를 보내면 통신이 불가능하단 뜻이다 수신모듈에 따라 이 캐리어.
주파수가 다릅니다 꼭. Datasheet 를 찾아보고 사용해야한다 수신단은 송신단에 비해 간단합니다. . 3 핀
인 수신 모듈은 1 번 핀에서 수신된 신호의 원신호가 출력된다 즉 무선상에서 수신된 신호를 캐리어.
주파수를 LowPass Filter 를 통과 시켜 캐리어 주파수를 제거하고 원래 IR_TX 와 같은 신호로 바꾸어
주었단 뜻이다 또한 특별한 부가 장치 없이 이 모든 일은 모듈이 알아서 처리해서. 1 번 핀으로 출력을
내준다는 뜻이다.
IR_RX 핀은 실제 ATMega128 의 RxD1 핀과 연결이 되어있다.
- 11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