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0 - MDP2020-3
P. 60
54
| 인천전자마이스터고등학교 ·············································································································
사. 전해 콘덴서
전자회로용 전원의 평활회로나 바이어스를 가할 때 직류전압에
남아있는 맥류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소형 대용량의 콘덴서이
다. 알루미늄을 이용한 것과 탄탈럼박을 이용한 것이 있으나 알루
미늄이 더 경제적이므로 주로 알루미늄을 이용한다.
구조는 알루미늄 혹은 탄탈의 얇은 막에 전기화학적으로 산화피
막을 만들고 금속박을 양극, 산화피막을 유전체, 전해액을 음극으로 한 것이다. 이 때문에
콘덴서에 극성이 생긴다. 알루미늄의 경우에는 알루미늄박 표면을 에치하여 유효 표면적을
증가하고 화성 전해를 사용해서 산화피막을 형성하여 전해액이 스며든 종이와 함께 감아
서 알루미늄 케이스에 봉입하여 콘덴서를 만든다. 전해액은 산화피막의 열화를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탄탈럼박을 사용한 습식콘덴서도 동일하게 만들어지는데 알루미늄이 경제적이므로 그다
지 사용되지 않는다. 탄탈럼으로는 고체전해콘덴서로 만들어지고 있다. 이런 경우는 탄탈
럼 가루를 압축성형하고 진공소결해서 표면적을 증가시켜 양극을 만든다. 그리고 나서 표
면에 이산화망가니즘층을 만들고 다시 흑연을 충전하여 음극으로 한다. 이 같은 콘덴서는
박형에 비해서 소형이며, 전기특성 특히 온도특성이 우수하나 경제성과 내압에서는 뒤진
다. 알루미늄 전해콘덴서의 사용전압은 450V 이하, 정전용량은 1~5,000μF, 사용온도 범
위는 -40~85℃이다.
아. 세라믹 콘덴서
전해 콘덴서와 탄탈 콘덴서와 달리 전극의 극성은 없으며, 세라
믹은 강유전체의 물질로 아날로그 신호계 회로에 사용하면 신호에
일그러짐이 나오므로 이와 같은 회로에는 사용할 수 없다. 그러나
고주파 특성이 양호하여 고주파 바이패스 회로에 많이 사용된다.
다른 콘덴서에 비해 비교적 작은 용량의 콘덴서이며 부품의 생김
새는 위 그림과 같이 원반 모양처럼 생겼다. 극성이 없어서 두 리드선의 길이는 같으며 규
격은 저항 값 읽는 법과 비슷하다. 첫 번째와 두 번째 숫자가 10이고 여기에 끝자리가 4
이므로 0을 4개 붙이면 용량이 나온다. 기본 단위는 피코패럿(pF)이다. 즉 위에 그림의 콘
덴서는 100000pF 짜리이고 마이크로 패럿(uF) 으로 환산하면 0.1uF 용량의 콘덴서이다.
만약 103 이라고 쓰여져 있다면 10000pF = 0.01uF 짜리 용량을 뜻한다. 나타내는 허용
오차는 알파벳에 따라 F는 ±1%, J는 ±5%, K는 ±10%, M은 ±20%, N은 ±30%를 뜻한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