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84 - 완) I MDP 프로젝트 작품 보고서(전체과 1학년)1.6
P. 184
1. 작품의 구성
전원부 : 트랜스, 다이오드, 평활회로
입력장치 : 오디오 입력단 가변저항기
필터회로 : 저음, 중음, 고음필터
SCR 구동회로
출력장치 : 저음, 중음, 고음부 표시용 고휘도 LED
[구성별 설명]
가. 전원부
(1) 트랜스
전자 상호 유도 작용을 이용하여 교류 전압을 높이거나 낮추는 장치.
교류 전원의 종류에 따라 단상 변압기, 삼상 변압기가 있고,
철심과 권선 구조에 따라 내철형 변압기, 외철형 변압기가 있다.
(2) 다이오드
전류를 한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고, 그 역방향으로 흐르지 못하게 하는 성질을 가진 반도체 소
자의 명칭. 2극 진공관의 의미를 표시하는 경우도 있다. 다이오드의 전류를 한 방향만으로 흐
르게 하는 작용을 정류라 하며 교류를 직류로 변환할 때 쓰인다.
다이오드에는 이 정류용 다이오드가 흔히 쓰이지만 그 밖에도 여러 가지 용도가 있다. 예를 들
면, 논리 회로를 구성하는 소자 등의 스위칭에는 다이오드가 많이 사용된다.
또 다이오드에는 많은 종류가 있으며 특성이 다르다. 예를 들어, 빛을 내는 발광 다이오드나
전압에 의하여 정전 용량이 바뀌는 가변 용량 다이오드 등이 있다.
(3) 평활회로
정류 회로에 접속하여 정류 전류 중의 맥동분을 경감하는 작용을
하는 회로를 말하며, 직류를 통하여 교류를 저지하는 일종의 필터
회로이다. 그림과 같은 초크 코일 L과 축전기 C와의 조합이 흔히
이용되며, 그림 (a)와 같이 전원 측에 접속하여 초크가 있는 방식
을 초크 인풋, (b) 또는 (c)와 같은 방식을 콘덴서 인풋이라고 부른
다. 정류 전원용으로 사용할 때는 C의 크기는 몇 마이크로 패럿
이상, L의 크기는 10헨리 이상인 것이 보통이다. 초크 코일은 대형
이며 약간 비싸므로, 소형 기기에서는 그 대신에 전류 용량이 큰
저(低)저항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 17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