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5 - 완) I MDP 프로젝트 작품 보고서(전체과 1학년)1.6
P. 45
직류로 변할 수 있다.
220v의 교류를 12v정도의 직류로 바꾸어주어야 전자제품에서 사용할 수 있는데, 정류
회로에서 양전압만 나오는 맥류로 바꿔 준 전압을 평활회로에서는 완전한 직류로 바꾸는
역할을 한다. 즉 높은 전압을 낮추고, 낮은 전압을 높여 일정한 전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콘덴서와 코일로 이루어져 있고, 전압을 유지시키는 역할은 콘덴서가 한다.
하지만 이런 평활회로를 거친다고 해도 완전한 직류는 아니기 때문에 다이오드나 트랜지
스터를 이용해 실제로 사용되는 직류로 바꿀 필요가 있다.
4) 정전압 안정화 회로
파형이 약간씩 흔들리는 것을 리플 잡음이 있다고 하는데 이 리플 잡음이 있으면 회로가
안정적으로 동작하지 못한다. 따라서 정전압 안정화 회로를 마지막으로 완벽한 직류로
만들어 주어야 한다.
정전압 안정화 회로는 전자 회로들에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회로로 직류 12V를 5V로 바
꾸는 역할을 한다. 전자 회로의 부품들은 동작되는 전압이 다른 경우가 있는데, 그렇기
때문에 정전압 안정화 회로를 이용한 전압 변환 과정이 필요하다.
정전압 안정화 회로에 사용되는 레귤레이터는 리니어 레귤레이터(7805), 스위칭 레귤레이
터(2575)의 두 가지로 나뉜다. 이번 스피커 회로에서 사용한 레귤레이터는 스위칭 레귤
레이터인데, 이것은 출력 단으로 흘려주는 펄스의 양을 조절하여 전압을 정밀하게 조정
해 주는 전압 변환기이다. 또한 리니어 레귤레이터에 비해 발생하는 열이 적고, 대 전류
를 흘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회로가 복잡하고 부품이 많이 필요해 가격이 높
다는 단점이 있다.
스위칭 레귤레이터는 전류량이 적지만 전력 소모를 줄여야 할 때도 사용하는데, 이것은
전력 특성이 리니어 레귤레이터보다 높은 특성 때문이다. 이렇게 정전압 안정화 회로는
많은 곳에 쓰인다.
- 3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