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7 - 완) I MDP 프로젝트 작품 보고서(전체과 1학년)1.6
P. 47
10이 되며, 이 저항을 연결하지 않고 단락시키면 이득은 100이 된다. 대표적인 예를 몇
가지 더 든다면 1.2KΩ을 넣으면 이득은 20이 되며, 180Ω을 넣으면 이득은 50이 된다.
C1 : 전해 콘덴서로서 R1만 연결하면 1번과 8번 사이에 직류가 흘러서 회로가 이상 동
작하므로, 이런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이 전해콘덴서를 삽입한다.
C2 : 출력핀(5번 핀)은 전원 전압의 1/2 가량의 전압이 걸려 있으므로 그대로 스피커나
기타 부하를 직접 연결하면 직류가 스피커에 흘러서 출력도 나오지 않고 부하를 파괴시
켜 버리기 때문에 전해콘덴서를 연결해야한다. 올바른 출력신호를 내기 위해선 적어도
100uF 이상의 용량을 가져야 하며 용량이 클수록 저주차 특성이 좋아지나, 1000uF 이
상의 것을 사용해도 그렇게 저주파 특성이 좋아지지는 않으므로 적당한 것을 쓰자
C3 : 바이패스 단자이며, 이 핀과 접지 사이에 적당항 용량의 콘덴서를 접속하므로 회로
동작을 안정화 시킬 수 있다. 0.1uF의 콘덴서를 사용했으나, 불안정한 전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10uF 정도의 전해콘덴서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R2, C4 : 이 앰프는 입력 단자에 전혀 고주파 방지회로가 없으므로 이 R2와 C4로서 고
주파가 출력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가청주파수(20Hz – 20KHz)를 벗어난 고주파는 명
료한 음질을 해치는 성분이므로, 그런 성분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C4를 너무 낮게 하
면 고주파 차단 효과가 없어지고, 너무 많게 하면 고음 출력의 일부가 이 콘덴서를 통해
서 흘러버리므로 고음출력이 작아진다. R2는 보통 스피커 임피던스와 비슷한 저항치를
삽입한다.
- 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