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95 - 완) I MDP 프로젝트 작품 보고서(전체과 1학년)1.6
P. 695
⑮ LED 표시등
LED 표시등은 모두 5개가 있다. PWR(빨강색)은 전원 공급 여부를 표시한다. 라즈베리파이에
전원이 공급되면 이 LED가 켜진다. ACT(초록색)는 SD카드 접근을 나타낸다. 운영체제가 SD
카드를 읽고 쓸 때마다 이 LED가 활발하게 점멸한다. 나머지 세 개의 LED, FDX(초록), LNK
(초록), 100(노랑)은 이더넷과 관련된 표시등들이다. FDX는 Full Duplex(전 이중)의 약자로 양
측이 동시 송수신을 병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더넷이 연결된 상태에서 통상 커져 있어야
한다. LNK는 Link의 약자로 이더넷이 연결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100은 이더넷이 100Mbps로
연결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꺼져 있다면 10Mbps로 연결된 것이다.
라즈베리파이는 모델B와 모델A 두 가지 모델로 공급된다. 모델B가 먼저 공급되었으며 처음에
는 256MB의 메모리가 장착되었으나 이내 512MB로 업그레이드되었다. 아마도 GUI를 실행하
기에 메모리가 너무 부족했기 때문이었던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모델A는 모델B보다
나중에 공급되기 시작했으며 메모리가 256MB, USB포트가 1개 있고, 이더넷 포트가 없는 점
이 다르다. 물론 그 만큼 가격이 더 싸다. 이더넷 포트도 없고 USB포트도 한 개 뿐인 모델A
를 어디에 쓰랴 싶겠지만 반드시 그렇지 만도 않다.
마을 주변 여러 곳의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여 SD카드에 기록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한다고
가정해 보자. 개발하는 단계에서는 키보드도 있어야 하고 마우스도 있어야 하며 이더넷도 연
결이 가능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개발이 완료되고 난 후 목적한 곳에 설치된 후에는 꼭 필요
한 기능만 있으면 된다. 개발하는 과정에서는 라즈베리파이 B를 이용하여 개발하는 것이 편리
하다. 하지만 개발이 완료된 후에는 여러 곳에 설치를 해야 하니 좀 더 값이 싼 모델 A를 이
용하는 것이 좋은 선택이 될 수 있다.
⑯SoC
시스템온칩(System on Chip)을 줄인 말이다. PC의 주 기판을 들여다 본적이 있다면 중앙처리
장치, 메모리, 주변기기 입출력 제어장치 등등 여러 가지 칩들과 회로들이 가득 들어차 있는
것을 보았을 것이다. 컴퓨터를 집어 넣어 여러 가지 전자기기를 만들기 시작한 이래 컴퓨터의
크기를 줄이려는 갖가지 시도가 행해졌는데 이 가운데 가장 성공적인 방법은 컴퓨터 시스템을
통째로 칩으로 만드는 방법이다. 라즈베리파이에 사용되는 BCM2835는 단순한 CPU라기 보단
CPU를 포함한 다양한 주변기기를 하나의 칩 안에 집적한 SoC이다. SoC를 만드는 방법은
FPGA나 CPLD같은 방법이 사용된다. 이를 위해서는 하드웨어 프로그래밍 언어인 VHDL을 사
용한다. 이에 대해서는 이 책의 범위를 벗어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⑰MCU(Micro Controller Unit)
임베디드 시스템을 개발할 목적으로 CPU 및 주변회로를 집적하여 만들어진 SoC를 말한다.
⑱코어(CORE)
MCU안에 포함되어 있는 프로세서, 즉 CPU를 일컫는 말이다.
- 68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