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61 - 3-2
P. 1061
2) 병렬통신 과 직렬통신
한 번에 한 바이트 또는 그 이상의 데이터를 한꺼번에 주고받는 병렬 통신과 달리 직렬 통신은
데이터를 한 비트 씩 순차적으로 주고받는 통신 방법이다 병렬 통신과 비교할 때 직렬 통신은 상.
대적으로 속도는 느리지만 통신에 필요한 선의 수가 적어서 구조가 단순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
다 두세 가닥의 선만으로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므로 직렬 통신을 사용하는. IC 는 병렬 통신을 사용
하는 IC 에 비해 핀의 수가 적다 이런 이유로. DAC, ADC, EEPROM 등의 매우 다양한 종류의 장
치들이 직렬 통신을 사용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또한 대부분의 마이크로컨.
트롤러는 두 가지 이상의 직렬 통신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다.
가 직렬통신)
직렬 통신은 데이터를 한 비트 씩 순차적으로 보내기 때문에 어느 시점부터 어느 시점까지가 한
비트인지 수신자가 정확하게 알아낼 방법이 필요하다.
신호의 상태를 어떤 시점에서 검사하느냐에 따라 동일한 신호가 여러 다른 값으로 해석될 수 있다 송신.
측에서 보낸 데이터를 수신한 쪽에서도 같은 값으로 인식하려면 송신자가 데이터를 보낼 때 사용한 시간
정보를 수신자도 알아야 한다 즉 송신자와 수신자는 서로 동기를 맞추어야 한다 수신자가 송신자와 상. , .
호 동기를 맞추기 위한 한 가지 방법은 동기를 위한 클럭 신호를 추가로 사용하는 것이다 이런 용도의.
클럭 신호 사용 여부에 따라서 직렬 통신을 크게 동기 (synchronous) 통신과 비동기 (asynchronous) 통
신으로 구분할 수 있다.
나 동기통신)
동기 통신은 데이터 전송을 위한 선 외에 송신자와 수신자의 동기를 위한 별도의 클럭 신호를
사용하는 통신 방법이다 동기 통신에서 송신자와 수신자는 서로 공유하는 클럭 신호에 맞추어.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만일 송신자가 클럭 신호의 하강 에지. (falling edge) 마다 한 비트씩의 데
이터를 내보낸다면 하강 에지에서 다음 하강 에지까지가 한 비트에 해당하므로 수신자는 데이터,
가 변하지 않고 안정된 값을 유지하는 구간 예를 들어 상승 에지에서 값을 읽어 가면 된다, .
동기를 위한 클럭 신호에 맞추어 서로 데이터를 교환하기 때문에 통신에 참여하고 있는 양측
은 정확한 통신 속도에 대해 미리 약속할 필요가 없다 클럭 신호가 데이터 전송 시점을 알려주.
기 때문이다 하지만 클럭 신호의 어떤 시점을 기준으로 송신자가 데이터를 보내는지 즉 수신자. ,
는 클럭 신호의 어떤 에지에서 데이터를 읽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상호간의 약속이 필요하다.
- 106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