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36 - 완) I MDP 프로젝트 작품 보고서(전체과 1학년)1.6
P. 936

제  2장  하드웨어  설계





            1.  개요




             가.  쓰레기통이란?
             쓰레기통은  쓰레기를  담은  통이다.


             나.  사용  분야

             집이나,  학교,  회사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다. 쓰레기통의 어원

             쓰레기는  순  우리말이  아닌  외래어에서  유래한  말이다.
            '쓰레기'  의    영어  slag  (  슬래그  :  광석을  용해할  때  생기는  찌꺼기,  녹은  쇠찌꺼기)와  slaggy
            (슬러지  :  하수처리  또는  정수  과정에서  생긴  침전물  등)에서  온  말이다.  근대화  이전의  우리
            나라  사람들은  살면서  버릴  것이  거의  없었다.  모든  것이  자연과  함께  이루어지고    자연으로

            되돌릴  수  있었으므로  생활쓰레기가  거의  나오지  않았다.
             집은  나무와  돌,  흙  등으로  만드니  부서지면  자연으로  다시  돌아가거나  재활용이  가능했고  옷
            이나  신발(짚신)도  헤어지면  땔감으로  사용하고  그  재까지도  밭에  뿌려서  비료로  사용했으며
            음식물은  남는  것이  거의  없었다.  설령  남더라도  개나  돼지의  먹이가  되었으니,  조선시대  말기
            까지만  해도  쓰레기라는  개념이  없었다.

             근대화  이후  화학적으로  만들어진  생활도구들(나일론,  비닐,  플라스틱,  콘크리트..)을  사용하면
            서부터  쓰레기라는  개념이  생겨났다.
             그러므로  ‘쓰레기’는  서양문물과  함께  들어온  외래어이고  여기에  통을  붙여서  쓰레기통이  되었
            다.
             쓰레기는  상자나  그릇이  아닌  빈  깡통에  넣는  경우가  많아서  쓰레기상자나  쓰레기그릇이  아닌

            쓰레기통이라고  한  것이다.


             라.  스마트  쓰레기통의  동작  원리
             날아가는  쓰레기를  찍은  카메라로  받은  동영상을  OpenCV  기법을  활용하여  영상처리를  한다.

            날아가는  쓰레기의  좌표를  계산한  뒤,  스마트  쓰레기통에게  전송한다.  이러한  전송과정을  1초
            에  수십  번씩  반복하고  스마트  쓰레기통이  날아가는  쓰레기를  쫒아가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  929  -
   931   932   933   934   935   936   937   938   939   940   9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