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22 - 3-2
P. 622

-  병렬I/O 포트 확장방법으로 주로 사용된다.


                   (2)  비동기식(Asynchronous Communication)
                     -  송신과 수신 idle     신호 문자 가 필요 없다(  )   .
                     -  처음과 끝에는 반드시 start/stop bit      가 필요하다.
                     -  두 개의 bit   추가 때문에 동기식에 비해 전송속도가 약간 늦다.
                     - 수신 데이터의 정확한 검출을 위하여 16             배 주파수 또는 배수 주파수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샘플링8
                     -  일반 모드에서는 데이터 샘플링에 사용되는 주파수를 보레이트의 16                         배 주파수로 사용하고, 2        배
                        속 모드에서는 8     배 주파수로 사용


                   (3)  동기식 방식과 비동기식 방식 비교
                   동기식(Synchronous)                          비동기식(Asynchoronous)
                   동기 클럭에 데이터를 송수신                            동기 클럭 없이 데이터 송수신
                   높은 전송 효율 필요                                Baudrate 에 의해 송수신
                   선로에 노이즈 장거리 전송에 유리/                        송 수신기는/    Baudrate 에 맞추어 통신
                   대량의 데이터를 고속 전송                             Start bit 외 Stop bit  필요



                     비동기식 통신에서 장거리 전송이 필요한 경우에는 구내용 모뎀을 사용하면 수 ㎞                                의 거리도 전송
                   이 가능하다 구내용 모뎀은 대부분 동기 통신과 비동기 통신 방식을 모두 지원한다.                               .


              사 아두이노.












                1)  아두이노의 개념
                  아두이노는 오픈 소스를 기반으로 한 단일 보드 마이크로컨트롤러로 완성된 보드와 관련 개발 도
                구 및 환경을 말한다. 2005         년 이탈리아의 IDII(Interaction Design Institutelvera)     에서 하드웨어에
                익숙지 않은 학생들이 자신들의 디자인 작품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게 하려고 고안된 아두이노는 처
                음에 AVR   을 기반으로 만들어졌으며 아트멜,                AVR   계열의 보드가 현재 가장 많이 판매되고 있다.
                ARM   계열의 Cortex-M0(Arduino M0 Pro)      과 Cortex-M3(Arduino Due)     를 이용한 제품도 존재한
                다 아두이노는 다수의 스위치나 센서로부터 값을 받아들여.                       , LED 나 모터와 같은 외부 전자 장치들을
                통제함으로써 환경과 상호작용이 가능한 물건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임베디드 시스템 중의 하나로.
                쉽게 개발할 수 있는 환경을 이용하여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아두이노 통합 개발 환경,          .                        (IDE) 을 제
                공하며 소프트웨어 개발과 실행코드 업로드도 제공한다 또한 어도비 플래시 프로세싱,       .                    ,        , Max/MSP
                와 같은 소프트웨어와 연동할 수 있다 아두이노의 가장 큰 장점은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쉽게 동작시.
                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AVR  프로그래밍이 AVRStudio        와 WinAVR(avr-gcc)   의 결합으로
                컴파일하거나 IAR E.W.       나 코드비전(CodeVision)     등으로 개발하여 별도의,           ISP  장치를 통해 업로드를
                해야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에 비해 아두이노는 컴파일된 펌웨어를.                                  USB 를 통해 쉽게
                업로드 할 수 있다 또한 아두이노는 다른 모듈에 비해 비교적 저렴하고 윈도를 비롯해 맥.  ,                ,                  OS X,
                리눅스와 같은 여러 OS         를 모두 지원한다 아두이노 보드의 회로도가.                    CCL 에 따라 공개되어 있으므
                로 누구나 직접 보드를 만들고 수정할 수 있다,                 .



                                                         - 622 -
   617   618   619   620   621   622   623   624   625   626   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