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64 - 3-2
P. 664

스도 구축하고 자바를 통해 이용해야 했기 때문에 새로 공부할 것도 많고 이해하고 응용하여 우리 프
              로젝트의 코드로 바꾸는 것에도 많은 시행착오를 겪었다 시행착오를 겪으며 완성한 데이터베이스와.
              라즈베리파이의 서버를 구동시키고 나서 아직 조원들이 클라이언트도 들어올 코드를 짜지 못해 혼자
              클라이언트를 구축하였다 클라이언트를 구축할 때도 인터넷을 뒤져가며 내가 구축한 서버와 호환이.
              되는지 안 되는지 몰라 여러 번 시행착오를 겪었고 마침내 서버와 연결에 성공했을 땐 맡은 일을 다
              성공할 수 있어서 고양감과 성취감으로 정말 뿌듯했다 그러나 나중에 조원들이 내가 구축해둔 서버에.
              조원들이 만든 클라이언트들이 접속은 할 수 있지만 값이 보내지지 않고 통신 테스트를 할 수 있는,               ,
              허큘레스 스마트폰 통신 어플 등등,               TCP  통신 테스트 프로그램도 값이 보내지지 않아 다시 서버를 구
              축하게 되었다 나는 서버를 재구축하는데.                  1 주일의 시간이 걸렸다 하지만 오작동한 원인은 내가 구축.
              한 서버에서는 문자열로 받기 위해 UTF                를 사용하였으나 조원들과 다른 통신 프로그램들은 문자열로
              보낸 것이 아니라 숫자와 ASCII          값으로 보냈기 때문에 상호 간의 통신이 이뤄지지 않았다 이런 사소한.
              문제 때문에 1     주일간 헤맸고 들인 시간에 비해 간단한 문제라 허무하기도 하고 고칠 수 있어서 다행이
              었다 이렇게 서로의 받고 보내는 값이.                Int 형인지 String 형인지에 대한 정보가 없고 사용하는 프로그램
              언어에 대한 지식이 얕아 생겼던 문제로 많이 고민하고 막혔다 이번 팀 프로젝트를 통해 한 가지를.
              하자고 마음먹었으면 그것에 필요한 지식을 본격적으로 깊이 파고들어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느낀
              좋은 프로젝트였다.


              < 이주원>
                이번 프로젝트에서 저는 소프트웨어 담당자로서 서버 측 라즈베리파이의 데이터베이스와 스마트폰
              사이에서 통신을 통해 정보를 전송하는 코드를 짰습니다 이번.                          MDP   수업만큼은 당시 활동 내용을 노
              트에 메모해서 다음 시간에 지장이 없도록 하였습니다 또한 우분투와 데이터베이스 명령어를 공부하.   ,
              면서 라즈베리파이에 대해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었습니다 항상 코드를 짜거나 코딩을 해야 하는 상.
              황이 있을 때 긴장과 스트레스를 받았다면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코딩에 대해 더욱 친숙해질 수 있었
              습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하면서 안드로이드와 관련된 지식을 습득할 수 있어서 좋은 기회였.  ,
              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모든 일에 잘 협조해주고 하드웨어 부분으로 어려운 저를 도와준 조원들을.
              통해 협업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나의 모교인 인천전자마이스터고등학교에 다니면서 느낀 점들과 배.
              운 점들이 참 많은 것 같다 먼저 나에게 전자라는 공학자의 분야의 길을 알려주었고 인성을 많이 배.                        ,
              웠다 이 많은 것들을 나에게 알려준 학교에서 마지막으로 작업한 것이.                            3 학년 프로젝트였다 학기 중에.
              는 나는 다른 이보다 더 앞서서 나가는 존재라고 생각했었지만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내가 아직 배,
              우지 못한 것들이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자숙하게 되었다 맨 처음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 주제 선.
              정 되는 남들보다 더 크고 멋진 작품이 나올 것이라며 믿어 의심치 않게 계획안을 제출했었으나 1                                        년
              선배님들이 이미 작품 출시했다는 것을 알고 많이 낙담을 했다 그러나 그 작품들보다 더 많이 발전된.
              작품을 만들면 된다는 의견으로 우리는 다시 일어서게 된 것 같다 중학교 때는 전혀 생각지도 못한.
              프로젝트 수업을 고등학교에 와서는 벌써 4                 번째나 해냈다 처음 시작할 때는 선생님의 도움 없이 우리.
              들의 힘으로만 한다는 것이 절대 불가능할 것만 같았다 하지만 지금은 당연한 듯이 우리들의 힘으로.
              한다. 1  학년 때와는 달리 프로젝트 수업을 하는데 많이 자율적이고 능숙해진 것 같다 그리고 벌써 이.
              프로젝트가 졸업 프로젝트라는 것이 실감이 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만드는 우리의 작품이 처음 했던.
              작품과는 스케일이 달라진 것을 보면 우리도 많은 기술과 지식이 쌓인 것 같다 그리고 여태까지 수업.
              을 하면서 함께 했던 친구들과 많은 도움을 주신 선생님들께 감사함을 느낀 것 같다 또 처음 접해본.
              모듈들을 성공함으로써 어떤 프로젝트도 성공할 수 있을 거라는 자신감이 생기기도 했다 실패하거나.
              뭔가 풀리지 않을 때는 기분이 좋지 않고 우울하면서 화도 나지만 실패가 있어서 성공이 즐거운 것 같
              다는 생각이 든다 또 조원들이 같이해서 혼자 할 때보다 덜 힘들고 어렵지 않다는 생각을 한다 이번.                                   .
              `IoT  모기 퇴치 장치 라는 프로젝트를 하면서 통신이 조금 힘들고 어려웠지만 새로운 것에 도전했다`
              는 것에 뿌듯하고 다른 어니 때보다 프로젝트를 즐겁게 한 것 같아서 좋았던 것 같다 프로젝트를 진,                          .
              행하면서 여러 가지 어려운 점도 있었다 하지만 나 혼자가 아니라 조원과 함께여서 어려운 문제를 잘.


                                                         - 664 -
   659   660   661   662   663   664   665   666   667   668   6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