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65 - 3-2
P. 665

해결 할 수 있었다 그렇게 여러 스텝 모터 구동하는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해결방안을 배울 수 있었.
              고 조원들과의 협동심을 기를 수 있었다 또한 새로운 부품을 사용하면서 전공에 관한 전문 지식도,  .  ,
              넓히게 되었다.


              < 우승민>
                3 학년이 되면 취업을 하게 되어 1, 2           학년보다는 학교생활을 편하게 할 것이라는 생각은 잘못된 생각
              이었고 오히려 이전보다 더 바쁜 생활을 하게 되었다 개학 전 겨울방학부터 프로젝트 조를 짜고 개학.
              하자마자 조마다 프로젝트 주제를 선정하게 되었다 새로 반 배정된 친구들과 의견을 맞춘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었다 하고 싶은 것을 하자니 역할분배나 실현 가능성이 멀었고 선배들의 작품에서 보.
              완하자니 프로젝트의 의미가 사라졌기 때문에 새로운 것을 생각해야 했다 그렇게 조원들과 회의를 하.
              면서 정해진 주제가 모기퇴치기이다 여름의 무더운 날에 모기가 기승을 부린다 특히 모기 때문에 잠.                    .
              을 못 이루는 경우가 종종 있어서 모기 퇴치는 꼭 필요하다 모기를 퇴치하려면 모기약을 뿌리거나 향.
              을 피우거나 직접 잡는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요즘에는 테니스 채처럼 생긴 전기 파리채도 등장.
              했다 하지만 이 방법들은 모두 사람이 직접 모기를 찾아야 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우리는 이 단점을.                       .
              개선하고자 자동으로 모기를 퇴치하는 작품을 만들기로 했다 방구석에 있는 센서들이 모기의 날갯짓.
              주파수를 감지하면 모기약 분사기가 그 방향으로 모기약을 뿌리는 방식이다 이번에 내가 맡은 역할은.
              스케치업으로 외형을 구상하는 역할부터 시작했다 이후에 프로파일과 아크릴 포맥스를 가공하여 조립.                   ,
              하고 필요한 부품들을 끼우는 것까지 하게 되었다 치수에 맞춰서 가공한다고 해도 어느 정도 오차는.
              고려해야 했기 때문에 빠른 속도로 진행되지는 않았다 또한 잘못 주문한 부품이 있어서 그것들을 어.  ,
              떻게 해야 할지 고민하는 시간도 가지게 되었다 하지만 그동안의 경험을 통해 하나하나씩 해결하기로.
              했다 예를 들어 스텝 모터 구동드라이버를 주문한 경험이 있다 우리가 사용하는 스텝모터는 구동방식.     .
              이 유니폴라 형인데 드라이버는 바이폴라 형이었기 때문에 서로 맞지 않았다 인터넷에 검색해보니 유.
              니폴라의 전원선을 제외한 각 상을 드라이버와 연결하면 정상적으로 동작한다는 정보를 찾아냈다 그.
              런 과정을 겪으면서 서로의 우정도 돈독해질 수 있었고 몇 달간 함께 프로젝트수업을 진행하니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다 그렇게 열심히 만들다가 시간이 흘러 중간평가를 받게 되었다 발표도 익숙하지.                        .
              않았고 덜 완성된 작품으로 설명하려니 정말 어려웠다 또한 각자의 역할에 대해 책임을 져야 했는데.  ,
              어떤 역할을 맡던 힘든 것은 매한가지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반대로 다른 조의 발표를 보고 배워야.
              할 점과 고쳐야 할 점이 보여서 스스로 반성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만큼 여러 조에서 다양한 작품들을.
              눈으로 볼 수 있었다 선생님의 피드백을 받으면서 능력이 많이 부족함을 느꼈고 서둘러 완성해야겠다.
              는 생각이 들었다 또한 작품 발표는 제작자 관점이 아닌 사용자 관점에서 얼마나 편리하고 유용하게.  ,
              쓰일 것인지가 더 중요했고 깔끔한 것보다 이목을 끌만한 디자인이 더 점수를 받기에 유리하다는 것을
              느꼈다. 1, 2  학년 때에는 선생님들이 거의 많은 도움을 주셨지만 3                      학년이 되고 나니 학생 스스로 생각
              하는 기회를 더 주셨다 아마 이런저런 경험을 겪으면서 많이 배워가라는 의미인 것 같다 문제를 해결.                            .
              하는 과정에서 포기하고 싶을 때도 있었지만 끈기를 가지고 배우려는 마음가짐으로 임했더니 이론과,
              실전은 다르다는 것을 직접 경험할 수 있었고 어려움이 생겼을 때 적절하게 대처하는 능력을 기르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마지막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지금까지 익힌 기술들을 다양한 방법으로 제작할.  ,
              수 있게 되었다 취업이 이미 확정되어.                2 학기에 현장실습을 나가거나 면접을 준비하는 친구들을 위해
              프로젝트 작품을 1       학기 안에 거의 완성을 해야 했기 때문에 거의 모든 수업을 프로젝트에 사용하고 주
              말에도 나오면서 촉박하게 작품을 제작했다 하지만 그럴수록 더욱 서로를 배려하고 돕는 과정에서 팀.
              워크를 향상할 수 있었다 스스로가 부족해서 많은 도움이 되지 못해 같은 조 친구들에게 미안함을 느.
              끼는 동시에 끝까지 열심히 프로젝트에 힘써준 조원들과 도움을 주신 선생님들께 감사드린다.


              < 이하은>
              3 학년이 되고 프로젝트를 시작하기까지 겨울방학부터 조를 짜기 위해 고생을 했다 그렇게 준비하고.
              개학을 하니 처음에는 프로젝트의 주제를 정하는 것부터 혼란이 왔다 팀원들과 의견을 모아 모기를.


                                                         - 665 -
   660   661   662   663   664   665   666   667   668   669   6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