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66 - 3-2
P. 666

퇴치하는 기기를 만들기로 결정하였다 처음에는 부품을 선정하는 것도 스스로 하다 보니 정말 우리의.
              힘으로 만든다는 것을 느꼈다 그리고 부품이 도착하기까지 열심히 피피티와 작품보고서를 작성하였다.                                          .
              피피티를 각자 담당을 나누어 진행을 시작하였더니 생각보다 생각이 맞지 않는 부분도 많아 곤란함을
              겪기도 하였다 그러한 점은 서로 이야기를 하면서 풀며 피피티를 완성하였다 그리고 대망의 발표 날.                  .
              조별발표를 끝내고 피피티를 만들 때는 예쁜 것도 중요하지만 여러 가지 청자의 입장을 고려해줘야 하
              는 것이 많다고 느꼈다 예를 들어 글자의 색조차 진하고 크게 또 눈에 잘 보이는 위치에 선정해야 한.
              다는 사소한 점 그림의 크기를 맞추어 보는 사람의 관점에서 편안하게 할 것 목차와 제목을 잘 써 무,
              슨 내용인지 바로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것 이러한 점을 알게 되었다 특히 선생님과의 피드백도 있지.
              만 다른 조의 발표를 보면서도 많이 느끼게 되었다 이렇게 발표를 준비하면서 피피티에 대해 다시 생.
              각하는 계기가 되었다 부품이 오고 처음에는 하드웨어를 제작하기 시작했다 단순함을 추구하고 회색.                  .
              의 벽을 가진 방을 만들었다 그리고 모터를 달아 단편적인 하드웨어를 완성하였다 각자의 담당을 나.                       .
              누어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그중 나는 소리 센서의 부분을 담당하였다 시작하기에 앞서 소리 센서를.             .
              아두이노로 제어한다는 것을 알고 약간의 걱정이 들었다 평소에 많이 접하는.                                FPGA  와는 다른 소프트
              웨어를 다룬다는 것은 기대보다는 우려가 앞서는 것이었다 잘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소.
              리의 음역을 나누어 원하는 주파수 대역을 뽑는 방법을 인터넷을 통하여 찾아보았다 아두이노에서.
              FFT 를 이용한다면 주파수 대역을 나눌 수 있다는 것을 알았고 그것을 시도해 보았다 순조롭게 진행.
              되어 기뻤던 것도 잠시 내가 사용하는 아두이노 미니에서는 AVR.h                          라는 헤더파일이 적용이 되지 않았
              고 절망하였다 초반에는 그러한 에러를 알아보지 못하고 인터넷에 많이 검색도 했다 대부분의 자료는.                         .
              영어로 작성되어있었고 그로 인해 언어의 장벽에 부딪히는 일이 잦아졌다 영어가 일을 진행하는 데.
              필요가 아니라 필수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여러 가지 주파수를 나누는 프로그램이 막히고 찾은 코드.
              는 detect 를 사용했다 아두이노는 예제 파일이 이미 작성이 되어있기 때문에 초임자도 쉽게 접근할.
              수 있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잘 작동이 되지 않았다 여러 가지 값을 바꾸어 보고 한 줄씩 해석도 해보.  .
              았지만 해결하지 못하였다 어처구니없게도 문제는 소리 센서에 있었다 아날로그값을 받아 주파수 분.             .
              석을 해야 하지만 조에서 주문한 센서는 0                 과1  즉, Low  와 High 만 나오는 것이었다 지난날 이를 해결.
              하기 위해 회로 적으로 해결을 보자 하고 밴드 패스를 시도하고 며칠 내내 고민하였던 날들이 주마등
              처럼 지나가는 것 같았다 첫 단추를 잘못 끼웠다는 말을 뼈저리게 느끼게 하는 상황이었다 다시 소자.                              .
              를 찾아보았다 이번에는 아날로그값을 받아 아날로그값으로 출력하는 마이크센서를 주문하였다 주문.                                      .
              상품이 도착하니 일이 술술 풀리고 바로 완성을 하였다 중간평가 날이 다가왔다 우리 조는 하드웨어.                     .
              적으로 이목을 끌지 못한다는 점에 대해 조언을 받았다 하드웨어를 처음부터 다시 만들게 되었다 이.                                      .
              번에는 완성에 90%       로 빠르게 내가 진행을 하였다 완성하고 나니 전에 외관의 문제를 느낄 수 있었다.                                .
              작품을 발표할 때는 단순함 보다는 이목을 끄는 디자인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학교에 다니.
              는 3 년 내내 진행하는 프로젝트 프로젝트야말로 우리 학교의 특색이지 않을까 생각을 한다 프로젝트,                               .
              를 진행하면서 일을 끝마치는 끈기를 배웠다 일이 어렵고 막혀도 완성을 해야 한다는 것 이러한 점이.
              나를 발전시키는 원동력이 되었다 또한 팀워크 혼자가 아닌 여러 명이 같이 완성을 하면서 서로 배.  ,  ,
              려하고 남을 위해 나의 맡은바 최선을 다하게 되었다. 3                     학년이 되어 프로젝트는 하면서 가장 감사했던
              분은 김선환 선생님이다 물론 모든 선생님께서 아이들을 잘 지도해주셨지만 가장 가까이서 나를 지도.
              해주신 김선환 선생님 내가 과연 선생님의 가르침과 조언 그리고 때때로 선생님의 따끔한 충고까지.
              이런 애정 어린 가르침이 없다면 어떻게 되었을지 생각해 보자 결론은 결코 지금에 결과가 나올 수 없
              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사랑으로 우리를 지도해주신 김선환 선생님과 강인필 선생님께 감사를 드리.
              고 안승희 선생님 박주훈 선생님께 조언을 구하러 갔을 때 친절히 알려주신 것에 감사를 드린다 그리,                                   .
              고 같이 최선을 다해준 조원들에게 많은 고마움을 전한다.










                                                         - 666 -
   661   662   663   664   665   666   667   668   669   670   6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