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5 - 완) I MDP 프로젝트 작품 보고서(전체과 1학년)1.6
P. 25
었고, 회로의 배선도 아쉬웠습니다. 거기다가 좀 더 완벽하게 만들고 싶었지만 생각보다 그러지 못했습니다,
다음에 기회가 된다면 제가 직접 라인트레이서 설계를 해서 지금 만들었던 것 보다 보다 완벽하고 보다 잘
동작하는 라인트레이서를 만들어 보고 싶습니다. 이번 MDP프로젝트를 통해 제 실력을 알게 되었고, 전공 공
부에 분발 하는 계기가 된 것 같습니다, 정말로 좋은 경험이었습니다.
☞ 한채원 : 라인 트레이서 과제를 약 3개월에 걸쳐서 완성하게 되었다. 처음에 회로도를 받고 지금 까지
본 회로도 중에 제일 복잡하고 어려워 보이는 회로였다. 그래서 어떻게 해야 할지는 모르겠지만 회로를 만들
어야 하므로 일단 패턴도를 그렸었는데 처음에 그린 패턴도를 보면 너무 답이 없고 웃음만 나오는 패턴도 였
다. 내가 직접 자동차를 만든다는 생각에 신나고 결과물을 빨리 보고 싶어서 MDP담당 선생님께 많은 도움을
받으면서 패턴도를 완성해나갔다. 또 처음에는 점프선의 수를 최대한 적게 해서 회로를 구성하려고 했으나
시간이 갈수록 회로가 복잡해지고 점프선 때문에 스트레스를 많이 받아서 점프선은 신경 쓰지 않고 회로를
구성했는데 그 부분이 가장 아쉬웠고 다음에도 프로젝트를 한다면 이런 작은 부분까지 많이 신경 써서 해야
겠다는 생각도 했다. 총 전원부와 센서부 모터부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한 몸체로 구성해서 그렸고 처음에는
연습기판에 그린 패턴도를 따라 연습을 해보고 작동이 되면 실제로 작품으로 낼 기판에 또 회로를 구성하는
것이 였는데 축제까지 시간이 너무 부족해서 연습기판에다가 납땜을 하고 있는 와중에 실전 기판에다가 바로
해버렸다. 그래서 실수한 부분을 흡입기로 고치다 동방도 같이 떼어져서 납땜이 안 되는 어려움도 많이 겪었
다. 라인 트레이서를 만드는 중에 적외선 수광 소자가 다이오드처럼 생겨서 극성 역시 같을 줄 알았는데 극
성이 반대라는 사실을 안 것이 자동차를 만들면서 가장 큰 충격 이였다. 겨우겨우 잘못 된 부분을 찾고 고치
면서 자동차를 완성했다고 생각했을 때 동작이 안 되어서 일주일간 애를 먹었다. 오실로스코프도 찍어보면서
잘못된 부분을 찾으려고 노력하고 선생님들께도 찾아가서 잘못된 점을 물어보곤 했는데 결국에는 IC를 4번
바꿔서 작동이 바르게 되었고 자동차가 작동이 되고 외관을 만들었을 때 너무 뿌듯했다. 이번 과제를 만들면
서 회로를 어떻게 읽는 것인지를 알게 되었고 IC가 많이 고장 날 수 도 있다는 것도 알았다. 또 적외선 수광
소자의 극성이 다른 다이오드들과 다르게 반대라는 것도 처음 알 게 되었으며 수광 소자는 내부구성이 다이
오드가 아니라 트랜지스터라는 것도 새로 알 게 되었다. 이번에 이런 기회를 통해 더 많은 과제들을 만들어
보고 싶다는 생각도 했고 학교에 들어와서 했던 모든 일 중에서 제일 재미있었던 일이였다. 앞으로 더 많은
회로를 해석해보고 싶고 기능반 아이들은 많은 과제를 만드는데 기능반 아이들이 부러웠다. 많은 것을 알게
되었던 시간인 것 같고 앞으로도 과제활동을 하는 시간을 학교에서 많이 마련해줬으면 한다.
☞ 황은수 : 이번 mdp과제물로 라인트레이서를 만들게 되었는데 먼저 이 라인트레이서의 원리는 간단
히 흰색과 검은색의 적외선 반사량 차이를 이용해서 선을 구분하여 달리는 것이다. 구성은 간단하게 센
서부, 모터부, 전원부로 구성이 되어있다. 동작은 흰색은 적외선을 비롯하여 모든 빛의 반사율이 검은
색보다는 높다는 것을 이용해 라인트레이서 앞부분의 센서부에서 눈에 보이지 않는 적외선을 바닥에 쏘
게 되고, 그 반사되는 적외선을 받아들이게 되어 현재 바닥의 선의 위치를 감지한 신호를 컴단자를 통
해 본체부로 전달하게 되고 본체부에서는 받아들인 신호로 선의 위치를 분석하여 선이 라인트레이서의
중앙에 위치하면 직진으로, 오른쪽에 위치하면 왼쪽으로, 왼쪽에 위치하면 오른쪽으로 이동할 수 있는
신호를 모터로 전달하여 달리게 된다. 이때 모터의 회전속도가 너무 빠르거나 양쪽 모터의 속도가 서로
다르면 센서부에서 신호를 보낼 때 너무 크게 돌아서 감지범위를 이탈하거나 직선으로 주행을 하지 못
하게 될 수도 있다. 이러한 라인트레이서의 회로 제작에 앞서서 먼저 패턴도 라는 것을 그리게 되었는데,
이 패턴도를 그리는 과정에서 회로도에 표시된 각 부품을 보는 방법과 배선의 효율성을 높이고 점프선을 최
소화하기 위해 여러 가지로 부품배치를 생각하게 되면서 회로제작에 대해 더 많이 알게 된 것 같았다. 이렇
게 패턴도를 작성한 후 회로를 완성하긴 했지만 동작이 되지 않아서 패턴도와 회로도를 비교해보고 혹시 다
- 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