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2 - 완) I MDP 프로젝트 작품 보고서(전체과 1학년)1.6
P. 22
무진할 것 이라는 생각과 빨리 많은 부품들을 보고 사용해보고 싶다. 이번 프로젝트는 비록 완성하지 못했지
만 배운 것과 느낀 것이 많은 프로젝트였던 것 같다. 내년이나 내후년 남은 프로젝트는 최선을 다해 만들고
이번과 같은 실수를 겪지 않도록 노력해야겠다.
☞ 전성현 : 나는 3~4개월 정도 MDP시간에 과제발표회를 위한 작업을 하였다. 과제발표회에서 우리가 받은
주제는 바로 라인트레이서라고 하는 작품이다. 우선 라인트레이서에 대하여 설명하자면 라인 트레이서는 말
그대로 라인을 따라가는 로봇을 말한다. 라인 트레이서가 완벽하게 만들어 지면 이 라인 트레이서가 우리가
이전에 정해놓은 길을 따라 간다. 라인트레이서는 크게 센서부, 본체부, 모터부, 전원부로 나눠진다. 우리가
받은 회로도에 따르면 우선 센서부는 L(Left), C(Center), R(Right)로 구성되어 있으며 적외선 센서가 바닥
에 적외선을 쏘아 바닥에서 반사된 적외선을 수광 센서가 받아들인다. 이때 바닥은 흰색과 검은색으로 이루
어져 있으며 색에 따라서 반사되는 적외선의 양이 다르기 때문에 검은 색에서 반사될 때에는 반사되는 적외
선의 양이 적어 수광 센서에 적외선이 적게 들어오고 흰색에서 반사될 때에는 반사되는 적외선의 양이 많기
때문에 센서부분이 도통이 되어 본체부로 전류가 흘러 들어가게 된다. 본체부는 크게 AND, OR, NOT의 조합논
리회로 구성되어 있으며, 센서부로부터 받은 전류(신호)에 따라서 논리회로에서 정해진 값에 따라 동작하여
라인트레이서가 정해진 선 위에 정확하게 지나 갈 때는 두 개의 모터가 작동하나, 왼쪽으로 치우칠 때는 왼
쪽 모터는 멈추고 오른쪽 모터가 작동하고 오른쪽으로 치우칠 때는 왼쪽모터가 작동하게 하여 정해진 라인인
검은색 선을 따라가게 된다. 본격적으로 라인 트레이서를 만들기 전에 꼭 내가 만든 라인트레이서가 올바르
게 동작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서 만들기로 다짐했다. 선생님께서 주신 회로도를 보고 우리는 패턴도를 그
리고 그 패턴도를 보고 납땜을 하였다. 그렇게 납땜이 끝난 후 본체부와 센서부를 연결해 보았다. 처음에는
동작이 잘 되지 않았지만 동작이 안되는 이유를 찾아보기로 하였다. 그 때 선생님께서는 문제점을 찾아보고
해결하는 과정이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말씀하셨다. 그 과정을 거친 뒤에서야 라인트레이서가 잘
동작하게 되었고 동작이 된 라인트레이서를 기반으로 라인트레이서의 형태를 만들었고 축제도 잘 마무리하게
되었다. 우리들에게는 아직 어려운 회로도였지만 회로도를 많이 보고 패턴도도 많이 그리고 난 후에는 회로
도를 다 외울 정도로 이 회로도에 익숙하게 되었고, 틀린 부분이나 연결이 잘 되지 않은 부분도 전보다 쉽게
찾아낼 수 있는 능력을 얻은 것 같다. 험난한 여정 이였지만 결과적으로는 라인트레이서도 잘 동작하였고,
더욱 좋았던 것은 틀린 부분을 스스로 찾는 과정에서 나는 한층 더 발전했다는 느낌을 받은 것이다. MDP시간
은 나를 한층 더 발전시킬 수 있는 좋은 계기였다.
☞ 조중욱 : 3개월 이 조금 넘도록 저녁 시간 마다 MDP 과제를 하면서 새로운 것들을 많이 알게 되고, 친
구들과 협동하면서 친구관계도 더 개선되었던 것 같다. MDP를 처음 시작한 날에는 정말 막막한 느낌이 들었
다. 기본적인 전공 지식들을 전공 시간에 배웠지만 그 내용들이 합쳐지니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될지 몰랐었
던 것 같다. 회로도를 보면서 납땜할 패턴도를 그려야 했는데 패턴도를 그려본 적이 얼마 없어 일단 어느 정
도 맞게 그려나갔다. 패턴도를 더 간략하게 그리고 점퍼선을 줄이기 위해 집과 기숙사 면학실에서 이전에 그
렸던 것을 보고 더 보완해서 그리고 잘못된 점은 없는지 재차 확인까지 하면서 내가 할 수 있는 최대한 해보
기 위해 노력했다. 2주일의 시간이 지나 나는 점퍼선을 최소로 줄였고, 납땜하기 편하게 패턴도를 그렸다.
완성된 패턴도를 볼 때의 감정은 말로 설명할 수 없었다. 그 후 시작보다는 가벼운 마음으로 MDP를 진행했던
것 같다. 납땜을 하면서 선이 끊어지고, 부품을 잘못 연결했을 때는 힘들어졌지만 이제 얼마 안 남았다는 생
각으로 하다 보니 납땜을 끝냈다. 동작 시험을 하고 외형 제작을 하게 되었는데 내가 좋아하는 부분이었기
때문에 나만의 라인트레이서를 만들었다. 내가 만든 라인트레이서는 적외선 발광 센서에서 발생되는 적외선
을 적외선 수광 센서에서 받아들인다. 여기서 라인트레이서는 바닥의 색깔에 따라 반사되는 빛의 양이 달라
지는 양이 달라지는 원리를 이용한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만약 센서가 검은 라인 위에 있을 경우 반사되
-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