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24 - 3-3
P. 1024

나 노이즈가 발생한다)         . →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해결한다.


                3)  계전기의 동작 원리




















              바 계전기 사용 시 유의점.
                1)  접점 정격용량
                  가 접점의 정격은 모두 최댓값으로 표기하고 있고 순간적이라도 과전류 과전압 부하를 개폐하면)                ,
                      접점이 아크나 줄 열에 의해 소모나 전이를 일으켜 용착하거나 특성 열화가 현저히 발생하게
                      된다.
                  나 따라서 접점정격)  (       ≥  최대개폐전압 ×       최대개폐전류 로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다 사용전압이)       DC 200[V]  를 넘는 경우 사용 최대 개폐전류가 낮아지거나 부하의 전류에 따라
                      동작 수명 횟수가 크게 제한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라 최대 통전전류는 접점 폐성 중에 전류를 연속 통과시킴으로써 과전류가 되었을 경우에는 접점)
                      자계와 코일 자계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채터링을 일으키거나 줄 열이 발생하여 접점이 현저히
                      소모 열화하거나 코일이 손상되게 된다.


                2)  접점의 보호회로
                  접점을 거쳐 과도적 현상이 있는 부하회로나 일반적으로 DC 200[V]                          를 넘는 부하 전압회로를 개
                폐하는 경우는 접점의 수명을 확보하여 접점의 장해를 방지하기 위한 보호회로가 필요하다.
                  가 유도부하의 경우)
                    (1)  계전기 솔레노이드 등의 유도성 부하를,                Off  시키는 경우 평상시의 약 10          배 정도의 역기전
                        력이 발생하며 역기전력이,            200[V] 를 넘으면 글로우 또는 아크 방전이 발생하여 접점이 파
                        괴되는 원인이 된다.
                    (2)  그러므로 역기전력을 낮게 억제하거나 방전시간을 짧게 하는 보호회로가 필요하다.


                  나 램프 히터 부하의 경우)  ,
                    (1)  램프 텅스텐 부하에서는 정상전류에 도달할 때까지 약(  )                 10 배의 돌입전류가 흐르며 이 전류가,
                        계전기의 최대개폐전류를 넘으면 접점에 용착 현상이 일어난다.
                    (2)  용량성 부하의 경우 접점과 부하가 긴 테이블 등으로 이어져 있을 때에는 선간의 부유용량,
                        에 의한 서지 전류가 발생한다 보통 이러한 경우에는 접점에 가까운 곳에 서지 프로텍터를.
                        삽입하는데 일반적으로 10[ 정도의 인덕터를 사용한다]                       .
                    (3)  콘덴서를 포함한 회로에서 접점의 개폐가 빈번한 경우에도 콘덴서의 충 · 방전 때에 돌입 전
                        류가 흐르므로 보호회로가 필요하다.








                                                        - 1024 -
   1019   1020   1021   1022   1023   1024   1025   1026   1027   1028   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