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9 - 완) I MDP 프로젝트 작품 보고서(전체과 1학년)1.6
P. 59
김진용
2학기에 들어와서 본격적으로 O!SF 축제를 준비했다. 우리는 스테레오 스피커를 만드
는 것으로 결정이 되었고, 교류를 직류로 전환하는 브리지 정류회로와 안정화 회로를
만들고 입력된 신호를 증폭하는 OP-AMP 증폭기를 이용한 증폭회로 까지 만들어서 바
로 11월 16일 수요일에 최종 완성을 하게 되었다.
브리지 정류회로를 만들면서 다이오드 방향과 콘덴서 방향 때문에 동작이 많이 애먹었
었고, 안정화 회로는 회로가 맞는데 동작이 안돼서 많이 힘들었었고, 증폭회로는 회
로가 복잡해서 꼼꼼하게 작업하느라 좀 힘들었다. 그러나 각 회로의 동작이 모두 동작
이 되는 것을 본 순간, 그 쾌감이란 이루 말할 수 없다. 내 손으로 꾸미고 납땜하고
설계한 작품이 완성되니 감정이 조금 벅찼다. 만일, 선생님의 도움이 없었다면 이 프
로젝트는 실패했을 수도 있다고 생각된다. 축제도 끝난 지금, MDP에서 많은 것을 얻
어갔다는 것을 많이 느낀다.
김현수
OP-AMP를 이용한 스피커를 만들게 되면서 전자회로시간과 디지털 논리회로시간에 배
웠던 것 인, 브릿지 정류회로의 4개의 다이오드로 인해 교류가 잘려서 나오는 반파
가 나오지 않고, 한쪽으로 올라가는 정파가 되는 것, 평활회로에서 콘덴서가 충방전을
하면서 정파인 교류를 불안정한 직류로 바꾸어 주는 역할, 정전압 안정화 회로를 통과
하면서 불안정한 직류가 완전한 직류로 바뀌게 되는 것, OP-AMP를 통해 저항을 조절
하여 증폭률을 변화시켜 입력신호를 증폭률에 따라 신호를 올려 스피커로 출력하는 것
등 여러 가지들에 대해 더 자세하고, 꼼꼼하게 알게 되었으며, 배웠던 것을 좀 더 확
실하게 짚고 넘어갈 수 있었다. 그로인해 우리 주변에 우리가 배웠던 것을 이용하거나
응용한 물건들이 가까이 있음을 깨닫게 되었다. 또한 우리 주변에 있는 간단한 기기나
전자제품들이 어떤 한 원리로 동작되는지 알아보고 싶어졌으며, 기회나 시간이 되면
원리를 파악하고 거의 똑같이 만들어보고 싶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2학년에는 MDP시
간의 그룹을 정하여 팀원들끼리 만들 것을 정하고 정한 것을 스스로 만들기 때문에 제
작하는 것이 1학년 때보다 어려울 것 같다는 생각과 그렇기 때문에 좀 더 흥미롭고 재
미가 있을 것 이라는 생각이 들게 되었다. 2학년 MDP시간을 좀 더 열심히 하기위해서
프로그래밍과 그 외에 여러 것들을 배우겠다고 마음먹게 되었다.
류현수
처음에는 내가 스피커를 만들 수 있을까 걱정부터 들었다. 평소 기본적인 회로만 해
왔던 나로서는 실생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자기기를 만들 것이라는 생각에 기분이
들떠있었다. 처음 작품을 만들기 시작한 날 선생님께서 첫 번째 필요한 회로의 원리와
- 52 -